닫기

분위기 좋았는데···한국 원전, 해킹 복병에 ‘휘청’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50318010011229

글자크기

닫기

최성록 기자

승인 : 2015. 03. 19. 06:00

해외 수출·재가동 호재 이어지다 날벼락
정부 진화 나섰지만···국민들 "불안하다"
"범인 색출보다 재발 막고 소통 힘써야"
크기변환_고리원전 전경
해외 수출, 노후 원전 재가동 승인 등 승승장구했던 한국원전이 해킹이라는 생각지도 못한 복병을 만났다.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해킹으로 원전 산업의 안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원전 당국은 곧바로 진화에 나섰지만 국민들의 불안감이 가시지 않은 만큼 밀접한 소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추후 발생할 수 있는 해킹에 대비해 점검 및 경계 등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한수원은 지난해 12월부터 이달까지 발생한 6차례 해킹으로 공공기관의 허술한 보안 문제를 지적 받은 만큼 7번째 해킹은 어떻게든 막아낸다는 방침도 세웠다. 이를 위해 외부 사이버 전문인력 25명도 신규채용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수원은 “(해커들이)과거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계속 사이버 심리전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국민들은 동요하거나 불안해하지 않기를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문제는 해킹과 같은 돌발 변수들이 현재 추진 중인 정부 원전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그동안 계속된 논란을 낳았던 한국 원전은 최근 국내외서의 다양한 호재를 맞은 바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3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우리나라가 개발한 중소형 원자로를 사우디와 공동 수출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당시 MOU체결로 “우리나라 원전 수출이 6년만에 재개되는 토대가 구축됐다”는 평가도 나왔다.

지난달에는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설계수명을 넘긴 월성1호기에 대한 계속 운전을 승인했다. 계속운전 승인에 따라 한수원은 월성 1호기를 재가동해 2022년까지 운용하게 된다.

한수원도 최근 중국 광동화전공정총공사(GPEC)와 320만달러(약 35억원) 규모의 시공 기술지원용역 계약을 체결하면서 중국 원전 건설에 기술자문을 수행하게 됐다. 이달 초에는 한국형 원전인 ‘APR1400’의 표준설계가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설계인증 사전심사를 통과하면서 미국 진출의 단초도 마련했다.

하지만 최근 발생한 해킹이 원전 수출과 노후원전 재가동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조석 한수원 사장이 “최근 발생한 해킹이 원전 운영에 직접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없다”고 강조했지만 원전산업 자체가 워낙 민감한 이슈인 만큼 돌발 변수가 발생할 수도 있다.

실제 신규 원전 유치를 추진 중인 영덕에서는 최근 들어 찬반갈등이 재점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주에서는 설계수명 30년이 끝난 월성원전 1호기를 재가동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일부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해킹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 지역 여론이 순식간에 원전 반대로 돌아설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해킹 당사자가 누군지를 잡아내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해킹의 재발을 막는 일”이라며 “산업부와 한수원 모두 원전에 대한 안전성을 자신한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알리는 등 국민들과의 소통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성록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