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중국 공산당기록 김일성 혁명사 전무

중국 공산당기록 김일성 혁명사 전무

기사승인 2015. 04. 03. 14:0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광복 70년, 창간 10주년 특별 기획, 종북의 뿌리, 김일성 바로 알기 4편]
북한 건군 기념일 4월 25일, '안도반일유격대' 날조된 역사
중국공산당 만주 항일무장투쟁기록, 김일성 이름 한 줄도 없어
S28BW-415031817390
중국 흑룡강성 박물관에 전시돼 있는 만주지방의 항일유격대 서열표, 김일성 이란 이름은 한 줄도 없다.
북한 당국은 김일성 주석이 1930년대 중국 공산당에 편제돼 항일무장투쟁을 벌였다고 선전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중국 공산당 자료에는 그런 기록이 한 줄도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중국 공산당은 북한의 건군 기념일인 1932년 4월 25일을 날조된 역사라며 외면하고 있다. 또 중국 공산당 기록은 북한이 조선인민군의 모태라고 선전하는 안도항일유격대 관련 자료에서 김일성의 이름을 한 줄도 적지 않고 있다.

아울러 중국 공산당은 일본군이 만주를 강점한 1932년부터 1934년 봄까지 만주 지방 도처에서 발족된 공산당 유격대 조직 어느 곳에서도 김일성이 활동했다고 기록하지 않고 있다. 1932년을 전후해서 만주지방에서 활동한 항일무장투쟁조직 15개였다.

북한의 건군 기념일은 4월 25일이다. 북한에서는 이날이 김일성 주석이 1932년 안도반일유격대를 결성한 날이라고 선전하고 있다.

국내의 종북 세력과 북한 주민, 심지어 탈북 동포 대다수도 1945년 광복은 김일성이 이끈 조선인민혁명군이 일본군과 무려 10만 차례 전투를 거듭하면서 쟁취한 결과물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

그러나 북한 측이 기록한 역사책 말고는 어느 나라 역사도 김일성이 일본군의 항복을 받아냈다는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 미국·영국·일본의 전쟁기록은 고사하고, 그들의 우방이었던 중국·소련에서조차 그러한 문헌을 찾아볼 수 없다.

북한의 건군 기념일인 안도반일유격대 결성에 관한 중국 측 기록들은 중국 하얼빈에 있는 ‘흑룡강성 혁명박물관’에 가장 잘 전시돼 있다.

종북1
중국 흑룡강성 박물관에서 만주지방의 항일무장투쟁을 설명하는 전시물, 북한 당국은 김일성 주석이 1930년대 중국 공산당에 편제되어 항일무장투쟁을 벌였다고 선전하고 있으나 정작 중국 공산당 자료에는 그런 기록이 한 줄도 없다.
◇안도반일유격대장은 김일성 아닌 이영배

그러나 이 박물관에는 △유격대명칭(遊擊隊名稱) : 안도반일유격대(安圖反日遊擊隊) △성립시간(成立時間) : 1932년 4월 25일 △주요영도인(主要領導人) : 이영배(李英培) 라고만 적혀 있다. 중국측 기록은 대장이 ‘김일성’이 아니라 ‘이영배’라고 적고 있는 것이다.

이 박물관에는 만주지방의 중국 공산당 항일투쟁역사와 국공 내전 당시 사적물을 전시하고 있다. 그곳에 항일무장투쟁을 설명하는 벽면이 한 곳 있는데 ‘항일유격대조직서열표’라는 것이 붙어 있다.

이 조직 서열표는 1931년 9월 일본군이 만주를 강점한 1932년부터 1934년 봄까지 만주 지방 도처에서 발족된 공산당 유격대(당시는 반일 유격대라는 명칭을 썼다)의 명칭, 그 결성 시기, 지휘한 영도자, 활동지역 등을 소상히 밝히고 있다.

이 조직 서열표에는 북한에서 김일성 주석이 만들었다고 선전하는 1932년 4월 25일에 만들어진 ‘안도반일유격대’의 영도자는 이영배로 돼 있다. 아울러 이 안도유격대가 최초의 항일유격대가 아니라 이미 그해 3월에 ‘왕청(汪淸) 반일유격대’가 발족돼 있었고 양성룡(梁成龍)이 그 대장인데 그의 활동지역이 안도 및 왕청이었다고 분명하게 기록하고 있다.

양성룡은 이름난 조선족 투사였다. 북한 기록은 이 양성룡을 김일성 주석의 부하로 묘사하고 있다. 게다가 양성룡은 안도반일유격대장 이영배의 상급자로 돼 있다.

이 서열표에는 김일성이란 이름은 한줄도 나오지 않는다. 북한의 말대로 혈맹 관계인 중화인민공화국조차 김일성의 활동 무대였다는 중국 동북 3성 만주에 있는 역사박물관에 김일성의 이름을 단 한줄도 써놓지 않은 것이다.

그런데 북한 기록인 조선전사(17권, 1981)는 안도반일유격대의 발대식이 안도현 소사하 토기점골에서 있었다고 쓰고 있다. 또 대원은 이영배를 포함한 5명만이 기록돼 있다. 그리고 5·1절에 안도반일유격대가 안도현성에 입성해 시위를 했고 며칠 후 김일성의 생모인 강반석이 방문하해 대원들을 쓰다듬어 주며 격려했다고 적고 있다.

또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2)(1992년 발행)’에는 대원이 100명 가량이며 김일성이 대장 겸 정치위원이었다고 돼 있다. 조선전사에 등장한 5명의 대원을 포함한 대원 19명의 이름도 등장한다.

‘세기와 더불어’에는 김일성 생모 강반석이 방문한 날이 5·1절 며칠 후가 아니라 5·1절 당일이라고 쓰고 있다. 그리고 제일 먼저 이영배의 머리를 쓰다듬었다고 덧붙인다. 김일성은 이처럼 이영배를 자기의 부하로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공산당은 김일성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고 안도반일유격대장은 이영배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즉 김일성의 혁명역사를 중국 공산당은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종북2
중국 흑룡강성 박물관에서 만주 지방의 항일무장투쟁을 설명하는 벽면. 북한 당국은 김일성 주석이 1930년대 중국 공산당에 편제되어 항일무장투쟁을 벌였다고 선전하고 있으나 정작 중국 공산당 자료에는 그런 기록이 한 줄도 없다.
◇시기마다 말이 바뀐 조선인민군 창건 기념일

북한의 김일성 주석은 일제가 만주를 침략하자 자신이 제일 먼저 반일 유격대를 조직했다고 했다. 즉 해방 직후 시점에서는 1931년 겨울 간도(間島)에서 조직했다고 했다. 그러다가 1958년 무렵에는 1932년 중국 안도현(安圖縣)에서 조직했다고 말을 바꾼다. 또 1968년 시기에는 1932년 4월 25일에 조직했다고 날짜까지 덧붙였다.

말을 바꾸다 보니 조선인민군 창군 기념일도 바뀌게 된다. 당초 조선인민군 창군 기념일은 1948년 2월 8일이었다. 그날 김일성도 열병식에서 ‘조선인민군 창건에 즈음하여’라는 제목의 연설까지 했다.

그런데 ‘안도반일유격대’ 발족일이라고 하는 1932년 4월 25일로 소급해 인민군의 뿌리를 짜 맞추느라 창군기념일도 1978년부터는 4월 25일로 변경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북한은 그렇게 해놓고 오늘의 인민군은 일본군의 항복을 받아냈던 김일성의 혁명전통을 이어받아 조국해방전쟁(6.25 전쟁을 북한이 일컫는 말) 때는 미군과 괴뢰군(대한민국 국군)을 쳐부수는 빛나는 전통을 세웠다고 북한 주민들에게 교양하고 있다.

북한 당국에서 발행한 김일성 회고록들은 이처럼 특정인의 사실상의 역사가 아니라 특정인을 주인공으로 한 하나의 역사소설적 창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도 1인칭 소설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소설’을 북한 주민들만 읽은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한국 사회 내부의 지식인과 정치인, 특히 1980년대에 대학을 다닌 현재의 40대, 50대가 읽고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이다. 이 386세대들은 이 ‘소설’들을 창작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사실’로 받아들였다. 또 대부분이 지금도 이런 역사인식을 버리지 않고 있다.

이는 2010년 국회 본회의에 상정된 ‘북한의 천안함에 대한 군사도발 규탄 및 대응조치 촉구 결의안’에 반대표를 던지고, 북한인권결의안이 10년 째 국회에서 잠자고 있는 상황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이것이 본지가 ‘김일성 바로 알기’ 연재를 하는 문제의식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