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와 워싱턴DC와 버지니아, 메릴랜드 등 인근 지역의 한·미·중 시민단체는 28일(현지시간) 미 의사당 앞에 모여 아베 총리의 사과를 촉구하며 진실된 반성이 없음을 규탄했다.
이 자리에는 워싱턴 정신대대책위원회와 워싱턴한인연합회, 버지니아한인회 등 한인단체 회원들을 비롯해 미국의 반전단체인 ‘앤써 콜리션’의 브라이언 베커 대표, 아태지역 2차 세계대전 만행 희생자 추모회 제프리 천 회장, 대만참전용사워싱턴협회 스탄 차이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아베는 말장난을 중단하고 사과하라’, ‘위안부 피해자에게 정의를’, ‘과거를 부정하면 잘못된 역사는 되풀이된다’, ‘HR121(위안부 결의안)은 어디 갔느냐’, ‘(일본이 침공한) 진주만을 잊지 말자’, ‘아베는 배상하라’는 등의 플래카드와 현수막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이 할머니는 연설에서 “아베는 계속 (위안부를) 강제로 끌고 간 적이 없다고 거짓말을 하는데 내가 바로 15살 때 일본의 대만 가미카제 부대로 끌려간 ‘역사의 산증인’이다. 그런데도 계속 거짓말을 하면 인간도 아니다”면서 “양심이 조금이라도 남아 있다면 아베는 지금이라도 공식 사과를 하고 법적으로 배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할머니는 특히 “내가 내일 의사당에 직접 들어가 아베가 의회 연설에서 무슨 말을 하는지 두 눈 뜨고 지켜볼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할머니와 이들 단체는 29일에도 항의 시위를 이어갈 예정이며, 시위 직후 마이클 혼다(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과 함께 아베 총리가 연설하는 의사당에 입장한다.
이런 가운데 정대위를 비롯한 한인단체와 이날 집회에 참석한 중국·대만 시민단체, 그리고 국제사면위원회(AI) 워싱턴지부 등은 이날 미 주요 일간지인 워싱턴포스트(WP)에 ‘미국과 일본 국민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제목의 전면광고를 내고 아베 총리의 공개 사과를 촉구했다.
이들은 1991년 위안부의 참상을 처음으로 증언한 고(故) 김학순 할머니와 이 할머니의 사진이 실린 광고에서 “김 할머니의 마지막 유언은 2차대전 당시 20만 명이 넘는 여성을 상대로 제국주의 일본이 저지른 범죄에 대해 사과하라는 것이었다”면서 “그러나 오늘날까지도 김 할머니의 마지막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특히 “(마찬가지로 전범국인) 독일은 ‘홀로코스트’ 희생자들에게 직접적이고 성의있고 명백한 사과를 한 것은 물론 홀로코스트 부인 행위를 위헌으로 규정하고 후세에도 교육을 제대로 하고 있지만 이와 정반대로 일본은 반인권 전쟁범죄에 대한 책임회피와 부정, 은폐, 역사수정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아베 총리가 연설하는 장소가 미국의 대일 선전포고 직전 당시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이 ‘치욕의 날’ 연설을 한 바로 그 역사의 현장”이라면서 “아베 총리가 과거의 전쟁범죄와 피해자들에게 사과하기에 미 의회만큼 더 좋은 곳도 없다”며 공개 사과를 거듭 압박했다.
한편, 한국 홍보 전문가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도 이날 뉴욕타임스(NYT)에 광고를 게재했다.
광고는 A섹션 국제면(8면) 하단에 ‘진주만 공격’(Attack on Pearl Harbor)이라는 제목으로 실렸으며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폭격으로 하와이의 진주만이 검은 연기로 뒤덮인 사진이 배경으로 삽입됐다.
서 교수는 ‘미국 진주만 폭격을 기억하십니까?’로 시작되는 광고에서 일본이 2차 세계대전을 통해 여러 국가에 큰 피해를 줬고, 특히 전 세계의 일본군 위안부에게 아직 사죄와 보상을 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아베 총리가 미 의회 연설에서 사죄 및 보상 약속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