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정부의 조치가 뒤늦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가운데 일부 병원명단에서 오류마저 확인되면서 정부에 대한 불신만 키우고 있는 실정이다.
◇24개 확진환자·경유병원 공개 메르스 사태 수습
메르스의 국내 유입 이후 환자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속출하면서 메르스 확진 환자 발생과 경유병원의 명단을 공개해야 한다는 여론은 끊이지 않았다.
이 같은 거센 압박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그동안 병원 명단 공개에는 신중한 입장을 유지해 왔다.
하지만 확진환자의 사망과 3차 감염자 발생 등 메르스에 대한 국민적 공포감이 높아지면서 결국 정부가 병원명단 공개를 택했다.
최경환 국무총리대행 겸 경제부총리는 7일 메르스 대응 대책을 발표하면서 “병원 명단 공개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면서 “그러나 메르스 사태를 조기 종식하고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해 공개했다”고 말했다.
이번 정부의 명단 공개에서 메르스가 서울에서 전북까지 전국적으로 방대하게 확산된 사실이 재차 확인됐다.
정부에 따르면 확진 발생 병원은 서울 강남구 삼성서울병원(응급실·17명), 강동구 365서울열린의원(외래·1명), 경기 평택시 평택성모병원(37명), 충남 아산시 아산서울의원(외래·1명), 대전 서구 대청병원(3명)과 건양대병원(응급실·5명) 등 6곳이다.
확진환자의 경유병원으로는 서울 소재 5개, 경기 소재 10개, 충남 소재 2개, 전북 소재 1개 등 총 18개다.
이번 정부의 병원 명단 공개는 메르스 대응 체제의 기조 전환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최경환 총리대행은 “정부가 지금까지 대응해 왔던 기조와 달리 이제는 보다 차원 높은 총력적인 대응 체제를 갖춰 메르스 사태를 조기 종식하기 위한 정부의 방향 선회로 보면 된다”고 강조했다.
◇명단공개 늦었지만 다행?
정부의 병원 명단 공개에 대해 실효성이 없다는 입장과 늦었지만 다행 등 의견이 갈린다.
김영훈 바른사회시민회의 경제실장은 “그동안 국민들은 불안했기 때문에 명단공개도 필요한 측면이었다”고 지적한 뒤 “이미 인터넷에서 정보가 공개됐는데 이번 명단 공개는 실효성 측면에서 별 의미가 없다”고 꼬집었다.
반면 김양균 경희대 의료경영학과 교수는 “현재 병원에서 감염되고 있기 때문에 공개해서 환자의 감염 예방활동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조금 늦은감은 있지만 공개하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정부 역시 이번 명단 공개가 병원내 감염 방지에 방점을 두고 있다는 것을 내비쳤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병원에서 집단 환자군이 발생하는 패턴이 확대되고 있어 불가피하게 공개한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명단 오류 정부 신뢰도 추락 자초
하지만 공개된 일부 병원의 소재지와 명칭의 오류가 확인되면서 정부가 재차 국민적 불신을 가중시키는 단초를 제공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확진환자 경유병원에 경기도 군포시 성모가정의학과의원을 포함했지만 군포시 확인 결과, 서울 성동구 성모가정의학과와 혼동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 군포시는 홈페이지에 ‘군포시 가정의학과의원은 오보이고 해당 의원은 서울 성동구 성모가정의학과로 정정해 알린다’는 내용을 게재했다.
경기도 평택푸른병원의 경우 평택푸른의원과 혼동했다. 또한 경유병원에 포함된 서울 여의도구 여의도성모병원의 경우 여의도구가 영등포구의 오류로 확인됐다.
김영훈 실장은 “늦게 발표된 명단 자체가 잘못된 것은 국민들에게 정부 대책이 허술했다는 불신을 심어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양균 교수는 “정확하게 파악해야 됐는데 이렇게 했는지”라고 반문한 뒤 “보건과 건강보다 연금 등 보건에 가중치가 실려 있는 보건복지부 구조 자체로 인해 이런 문제가 생기는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