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9월 문을 여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하 문화전당) 예술극장의 김성희 예술감독은 2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예술극장의 나아갈 방향에 관해 이렇게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는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이 광주광역시에 조성한 문화전당 예술극장의 비전과 개관축제 세부 내용을 공개하는 자리였다.
김 예술감독은 “예술이 서구의 관점에서 규정돼 왔는데 이에 문제의식을 갖고자 한다”며 “아시아 예술가를 집중 발굴하고 아시아의 오늘을 주체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고 예술극장의 정체성을 밝혔다.
또한 그는 “아시아 공연예술계가 당면하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은 제작과 유통 시스템의 부재”라면서 “예술극장은 이 문제를 일괄 타결할 수 있는 제작.유통 시스템을 실현시켰다. 세계적 기관들과 제작비를 공동 출자하고 동시에 작품 유통 기회를 확보하는 공동제작 방식을 택했는데 개관축제 참가작인 싱가포르 아티스트 호추니엔의 ‘만 마리의 호랑이’가 그 예”라고 전했다.
예술극장과 싱가포르 에스플러네이드, 시드니 캐리지웍스, 비엔나 페스티벌이 공동 출자.제작한 ‘만 마리의 호랑이’는 4곳의 공동제작 기관에서 1차 공연하고, 이를 관람한 해외 전문가들이 다시 작품을 초청함으로써 향후 2년간 공연 기회를 확보했다.
이번 개관 페스티벌에서 선보이는 작품 중 16개가 이러한 제작 방식을 통해 만들어졌고, 앞으로 총 40여회의 국제무대 투어가 이미 예정돼 있다.
김 예술감독은 “예술극장은 아시아 동시대 공연예술 허브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예술극장 개관축제는 9월 4일부터 21일까지 3주간 열린다. 작가 29명의 작품 33편을 선보인다. 이중 12편은 세계 초연작들이다.
태국의 세계적인 영화감독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이 만든 ‘열병의 방’, 우즈베키스탄 출신 탈가트 바탈로프의 ‘우즈벡’, 테헤란에서 활동 중인 연출가 및 극작가 아자데 샤미리의 ‘다마스커스’, 미술작가 김성환의 음악극 ‘피나는 노력으로 한’ 등이 관객과 만난다.
김 예술감독은 “개관축제는 특정 주제를 규정하기보다 동시대 작가들의 다양한 관점 자체에 주목하고자 했다”며 “미래 대안을 제시해줄 아시아 예술가들의 잠재력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티켓 예매는 예술극장 누리집(www.asianartstheatre.org), 전화(062-410-3617), 전자우편(at-ticket@iacd.kr) 등을 통해 할 수 있다.
문화전당은 예술극장(공연), 어린이문화원(어린이 콘텐츠), 문화창조원(창작·제작), 문화정보원(연구·자료보존·교육), 민주평화교류원(국제교류)으로 구성된 복합문화공간이다. 문체부는 8월까지 5개원의 구체적 개관콘텐츠를 순차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문체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은 개관 전 공연으로 아르헨티나 출신 페르난도 루비오의 ‘내 곁에 있는 모든 것’을 선보인다. 침대라는 가장 내면적인 공간을 가장 공개적인 장소에 배치시켜 공공성과 개인에 대해 고찰하는 공연이다. 7월 13~14일 서울시청 광장에서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예술극장 누리집을 통해 관람 신청을 받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