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당 원(院)구성 협상 착수…14년 만에 ‘야당 국회의장’ 나오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60512010006179

글자크기

닫기

손지은 기자

승인 : 2016. 05. 12. 18:50

더민주, 국회의장 두고 문희상·이석현·박병석 등 경쟁 치열
새누리, 법사위원장 후보에 권성동·홍일표·여상규 등 물망
[포토] 첫 회동 하는 여야 3당 신임 원내지도부
20대 국회 여야 원내지도부가 11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첫 상견례와 함께 원 구성과 법안 처리 등 앞으로 다룰 의제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만나 대화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국민의당 김성식, 새누리당 김광림, 더불어민주당 변재일 정책위의장, 새누리당 정진석, 국민의당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새누리당 김도읍, 국민의당 김관영 원내수석부대표. / 사진 = 송의주 기자
여야 3당이 20대 국회 전반기 원(院)구성 협상에 들어가면서 치열한 수싸움이 시작됐다. 최대 관심사는 14년 만의 야당 국회의장 탄생 여부와 사실상 상원(上院) 역할을 하는 법제사법위원장 자리를 누가 차지하느냐다. 또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게 될 제3당 국민의당이 제1, 2당 사이에서 보여줄 줄타기도 관심이다. 국회법은 다음 달 7일까지 의장단을, 9일까지 상임위원장을 뽑도록 하고 있지만 3당의 복잡한 속내 만큼이나 극심한 진통이 이어질 전망이다.

국회의장은 4·13 총선에서 제1당이 된 더불어민주당 몫이 될 가능성이 높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원구성이 마무리되기 전에 탈당·무소속 당선자를 복당시켜 제1당 지위를 회복하는 ‘꼼수’는 쓰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때문에 야당 국회의장이 탄생 가능성에 힘이 실린다. 16대 국회 후반기(2002년~2004년) 당시 야당이던 한나라당에서 박관용 의장을 배출한 선례가 있다.

현재 더민주에서는 6선인 문희상·이석현·정세현 의원, 5선인 박병석·원혜영 의원이 물밑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석현·박병석 의원은 더민주 초선 당선자 57명 모두에게 일일이 손편지를 써보내기도 했다. 후보군 모두 당내 투표도 불사하겠다는 각오로 국회의장 직에 대한 강한 열망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원구성 협상을 맡은 김도읍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가 11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의장은 더민주가 하고 법사위원장은 새누리당이 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전혀 그렇게 이야기된 것은 없다”고 말해 새누리당이 국회의장직을 순순히 내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와 같은 여소야대 구도가 탄생한 13대 국회(1998년) 때는 여당인 민주정의당이 국회의장(김재순)을 맡고 국회부의장 2자리를 모두 야당인 평화민주당(노승환)과 통일민주당(김재광)이 맡은 바 있다. 새누리당이 이 같은 선례를 들어 국회의장직을 유지하고 2명의 부의장직을 더민주와 국민의당에 각각 제안할 가능성도 높다. 일각에서는 국회의장이 선임하는 국회 사무총장직을 내주는 방안도 제기된다.

관건은 국민의당의 선택이다. 새누리당의 한 핵심관계자는 “국민의당이 ‘캐스팅 보터’라고 할 때, 사안마다 유불리를 계산하며 제1, 2당의 편을 들고 그에 따라 이익을 얻고자 한다면 결국 제3당의 존재의의와 국민의 지지를 잃을 것”이라며 “더민주가 국회의장을 차지할 경우 국민의당은 대등한 야당으로서의 지위와 중재기능을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새누리당은 더민주가 국회의장 자리를 내놓지 않을 경우 법사위원장은 반드시 사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새누리당 법사위원장 후보로는 율사출신 3선 그룹인 여상규·홍일표·권성동 의원이 거론된다. 권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와 만나 “새누리당이 법사위를 가져오면 바로 신청서를 낼 것”이라고, 홍 의원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기회가 된다면 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손지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아투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