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지금은 핀테크 시대]“핀테크산업 발전, ‘보안’이 핵심…피해대책·가이드라인 제시돼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60602010001208

글자크기

닫기

임초롱 기자

승인 : 2016. 06. 02. 18:29

제2회 아시아투데이 핀테크 포럼3
(왼쪽부터) 장석호 비씨카드 빅데이터 센터장, 최승천 금융보안원 보안연구부장, 장성옥 금융감독원 금융정보보호팀장, 고동원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안영엽 국민은행 정보보호본부 상무, 김정혁 한국은행 전자금융팀장이 2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불스홀에서 개최된 아시아투데이 창간 11주년 기념 제2회 핀테크포럼에 참석해 ‘지금은 핀테크시대, 떠오르는 정보보안 이슈는’이라는 주제로 패널 토론을 진행했다. /사진=송의주 기자songuijoo@
“정보 활성화와 정보보호 강화 이슈가 핀테크산업에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보안강화’ 입니다.”

2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불스홀에서 열린 아시아투데이 창간 11주년 제2회 핀테크포럼에서 ‘지금은 핀테크 시대, 떠오르는 정보보안 이슈는’이란 주제로 진행된 토론회에서 좌장을 맡은 고동원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이 같은 견해를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고 교수의 사회로 장성옥 금융감독원 금융정보보호팀장, 최승천 금융보안원 보안연구부장, 김정혁 한국은행 전자금융팀장, 안영엽 국민은행 정보보호본부 상무, 장석호 비씨카드 빅데이터 센터장 등 관련업계 전문가들이 토론자로 나섰다.

이 자리에서는 핀테크산업에서의 정보보호 방안과 정보유출 시 피해대책, 선결과제 등에 대해 업계와 당국의 의견을 교환하는 시간을 가졌다.

업계를 대표해 토론에 나선 안영엽 국민은행 정보보호본부 상무는 우선 각 금융사마다 서로 다른 생체인증방식을 개발중인 현 상황에 대해 우려했다.

안 상무는 “A은행은 홍채인증, B은행은 지문인식, C은행은 정맥인증을 사용하는 등 서로 다른 바이오업체들과 컨택해 서로 다른 생체인증방식을 도입하고 있다”며 “이는 타행 간 거래시 금융공동거래망 사용에 있어 혼선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향후를 고려해 금융감독기관이나 한국은행 등에서 표준을 잡아 가이드라인이 제시돼야 한다는 제언이다. 가이드라인 제시 내용은 이 토론장에서 공감을 얻기도 했다.

또 다른 업계 대표로 참석한 장석호 비씨카드 빅데이터센터장은 “데이터 시장이 저가로 형성돼 있어 정보의 질이 떨어지는 등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며 “20여 년 전 소프트웨어 표준단가라는 게 지정돼 잘 정착되면서 중소기업들이 살아났듯이 데이터 시장도 정부에서 발주하는 데이터 프로젝트라든지 적절한 통계 데이터 등 기준이 세워진다면 훨씬 더 깨끗하고 건전한 시장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같은 정보 활용 활성화 방안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정보보호’ 문제가 선결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최승천 금융보안원 보안연구부장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빅데이터 활용과 보안 문제는 어느 한 쪽 영역이 양보하지 않으면 핀테크산업의 빅데이터 영역이 발전할 수 없다”며 “대국민 합의를 통해 사회적 공감대 갖고 산업을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는 금융사와 포털사들의 개인정보유출사태가 연쇄적으로 발생하면서 정보보호에 좀더 중점을 두는 추세를 겨냥한 발언이다. 이와 관련해 한국은행 측은 피해대책 방안 중 하나로 공동기금제 운영 등을 제시했다.

김정혁 한국은행 전자금융팀장은 “핀테크기업들이 공동으로 배상한다거나 보험처리 등 보안사고에 대비해야 하며, 이 같은 사후처리문제를 금융기관들도 공동으로 연구해야 한다”며 “아울러 이 문제 또한 비용문제기 때문에 세금문제 등도 조율해야 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금융위원회와 방송통신위원회, 행정자치부, 미래산업부 등 관련 정부부처와 함께 협의해 정보활용 관련 법령에 대한 해설서를 내놓겠다고 밝혔다. 신용정보법과 개인정보보호법 등에서 규정하는 ‘정보’의 개념에 대한 해석이 다르기 때문에 업계에서도 혼란이 빚어졌다는 설명이다.

장성옥 금감원 금융정보보호팀장은 “빅데이터 활성화 위한 방안을 정부부처가 협력해 지난해부터 마련하고 있다”며 “최근 신용정보법 개정안 입법예고 내용과 같은 규제 완화, 빅데이터 활용 및 활성화 방안, 데이터 교류시 안전성 강화하기 위한 제반 지침 등 3가지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신용정보기관 등과 협력해 제반 기술에 대해 팔로업하고 업데이트 하는 방향으로 나갈 것”이라며 “앞서 제언해주신 가이드라인 제시 등과 같은 문제는 학계와 업계 의견을 수렴해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임초롱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