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아용품 전문기업 쁘띠엘린이 최근 36개월 이하 자녀를 키우는 엄마 301명을 대상으로 ‘아이에게 가장 많이 하는 거짓말’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엄마들 79.7% 아이에게 거짓말은 해봤지만 61.3%는 올바른 교육 방법 아니라고 생각해
엄마들 10명 중 8명(79.7%)은 ‘떼를 쓰는 아이를 달래기 위해 거짓말을 해 본 적이 있다’고 답변했으나 ‘거짓말은 올바른 교육방법이 아니다’라고 답변한 엄마 또한 61.3%로 나타나 현실에서의 실전 육아와 생각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에게 거짓말을 하게 되는 이유로는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기 때문에(40.0%)’, ’상황을 설명해도 아이가 어려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에(24.6%)’, ‘아이에게 필요한 것을 교육하기 위해서(17.9%)’, ‘더 나쁜 버릇이 생기지 않도록 조기 예방을 위해서(14.2%)’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엄마들이 가장 많이 하는 거짓말 1위로는 “아저씨가 이놈 한다(38.8%)”와 같이 제 3자를 끌어들이는 거짓말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한입만 먹으면 해줄게” 식의 공약 거짓말이 26.3%, “다음에 사줄게”와 같이 당장의 상황을 모면하는 거짓말이 10.0%, “하나도 안 아파” 7.1%, “안 씻으면 아야 한다” 6.3% 등 아이를 달래거나 겁을 주는 방식이 그 뒤를 이었다. 기타 답변으로는 “거의 다 왔다”, “엄마 금방 갈게”와 같이 기대감을 심어주는 거짓말이 있었다.
◇집 또는 외출시 아이가 가장 떼를 쓰거나 짜증을 내는 상황은 ‘잠투정’
아이가 집에서 가장 떼를 쓰거나 짜증을 내는 상황 1위로는 ‘자야 할 시간에 잠을 자지 않겠다고 할 때’가 45.8%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무작정 밖으로 나가자고 할 때(15.0%)’, ‘양치나 목욕을 하지 않겠다고 할 때(11.3%)’ 등이 있었다. 또한 외출 시에도 ‘잠이 와서 잠투정을 부릴 때’가 42.9%로 압도적으로 높아 육아에 있어 많은 엄마들이 아이들의 수면습관 때문에 고충을 겪거나 그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마들 46.5%, 스스로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
한편, 향후 6~7세까지 아이의 성장에 맞춰 가르치고 싶은 교육법을 묻는 질문에는 ‘스스로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감정조절 교육)’는 답변이 46.5%, ‘기다릴 줄 아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인내심 교육)’ 20.6%,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질 줄 아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독립심 교육)’ 18.6%, ‘오래 집중할 수 있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집중력 교육)’ 6.0% 등으로 나타나 최근 인성 교육에 대한 엄마들의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쁘띠엘린 관계자는 “설문 결과와 같이 대부분의 부모들이 아이를 통제하거나 버릇을 고치기 위해 선의의 거짓말을 하고 있다. 이는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는 아이들의 특성상 불안감이 조성되거나 신뢰감 형성에 있어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며 “특정 상황을 쉽게 모면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것보다는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단어로 풀어서 이야기하고 만일 약속을 지키지 못했을 때에는 반드시 아이에게 사과를 하는 것이 올바른 인성 교육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