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찰관들이 체험한 트라우마 센터의 이용만족도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61109010006274

글자크기

닫기

이철현 기자

승인 : 2016. 11. 11. 09:11

친절·효과·대응·쾌적성 등 만족도 높아…상담인력 증원·홍보서 낮아
검찰, 우병우 수석 아들 의혹 관련 서울지방경찰청 압수수색
/사진=송의주 기자 songuijoo@
경찰 트라우마센터의 전체적인 이용만족도는 높은 편이었지만 상담인력 증원과 홍보가 부족한 실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경찰청에 따르면 박재풍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은 최근 ‘경찰 트라우마센터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통해 △상담인력 충원 △홍보 다각화 △정신건강 관련 상담·치료 거부감 줄일 교육훈련 프로그램 마련 △트라우마 센터 증설 등 4가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연구관은 트라우마 센터를 한 번이라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전국 경찰관 12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와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분석을 통해 트라우마 센터 이용만족도를 구성하는 5가지 변수 가운데 친절·효과·대응·쾌적성 등 대부분의 지표에서 이용만족도가 높았다. 반면 상담인력과 홍보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박 연구관은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만족도 평균값이 높아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상담인력은 각 센터별로 1명밖에 없어 당연한 결과인 듯 보이고 홍보는 센터를 모르는 경찰관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마음 편히 상담과 치료를 받을 수 있다든지, 개인정보가 보호된다고 하는지 등에 대해서도 많은 경찰관이 잘 모르고 있다”며 “상담인력과 홍보에 대해 생각해 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연구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경찰관이 앞으로 센터를 이용함에 있어 개선할 수 있는 사항을 파악할 수 있게 됐다고 본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편 센터는 경찰청이 지난 2014년부터 트라우마 전문 상담·치료를 목적으로 의료기관과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전국 4곳에 설치·운영 중이다.

하지만 전국 경찰인력에 비해 센터의 수가 적은 편이라 이를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이철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