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자의 눈] 남북 비극의 상징 모자 류미영, 최건국 나란히 영면

[기자의 눈] 남북 비극의 상징 모자 류미영, 최건국 나란히 영면

기사승인 2016. 11. 26. 17:0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각각 독일과 북한에서 별세
남북분단 비극의 상징으로 종종 거론되던 류미영 북한 천도교 청우당 중앙위원장과 재독 교민 최건국 씨 모자가 올해 잇따라 타계, 저 세상에서나마 영원히 안식을 같이 하게 됐다. 류 위원장은 23일, 최 씨는 지난 2월 말 7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으니 마치 약속이나 한듯 나란히 유명을 달리 한 셈이다.

중국 관영 신화(新華)통신의 26일 보도에 따르면 류 위원장은 지난 23일 95세를 일기로 평양의 자택에서 운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통일부는 인도적인 차원에서 류 위원장의 차남인 최인국 씨(70)의 방북을 허용했다. 장남이 타계했으니 당연한 조치였다고 할 수 있을 듯하다.

CAM00075
생전의 최건국 씨. 어머니보다 9개월 앞서 올해 2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타계했다./베이징=홍순도 특파원.
비극이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니기는 하나 사실 류 위원장과 최건국 씨 모자는 한국 현대사의 대표적 금수저 집안의 일원이었다고 해도 좋다. 최건국 씨의 할아버지가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지낸 최동오, 외할아버지가 고종의 시종무관 출신이자 국군의 산파였던 류동열 선생이었으니 이렇게 말해도 괜찮다. 게다가 그의 아버지는 3성 장군 출신의 최덕신 전 외무부 장관이었다. 이 정도 되면 아무리 3대가 망한다는 독립운동가 집안이라 해도 먹고 사는 데는 아무 지장이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진짜 그의 집안은 광복 이후 잘 나갔다. 보통 독립운동가 집안이 봉착하고는 했던 경제적인 문제도 전혀 없었다. 환국하자마자 찾은 용인의 선산을 비롯한 집안의 부동산이 지금 시세로 수조 원에 달했다고 그가 생전에 종종 주장했을 정도였다. 그의 인생은 그러나 천도교 교령과 서독 대사를 지낸 아버지가 1970년대 해외로 망명한 다음 북한에 정착하면서부터 꼬이기 시작했다. 당시 삼성전자 서독 주재원으로 있었으나 귀국하기가 곤란할 수밖에 없었다. 서독 교민이 되는 것은 필연이었다.

KakaoTalk_20161127_141155054
류미영 위원장. 사진=/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그는 집안 내력이 보여주듯 서독에서 가만히 있지 않았다. 서독 교민들을 규합, 한국 민주화 운동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었다. 그러다 30여 년 전부터는 부친의 별세 후 북한의 천도교 청우당 위원장의 자리에 있던 모친의 권유로 대북 사업에 나섰다. 한라산과 백두산의 이름을 따 만든 한백상사도 설립했다. 한때는 웬만한 알짜 중소기업이 부럽지 않을 만큼 사업 역시 잘 됐다. 금강산 해변에 말보로 같은 해외 글로벌 기업의 광고 입간판을 세워 영업까지 했을 정도였다.

그러나 그도 나이 들면서 찾아오는 건강 악화는 어쩌지 못했다. 2년 전에는 뇌줄중으로 쓰러지기도 했다. 이후 투병 생활을 하다 결국 모친보다 9개월 앞서 눈을 감았다. 그의 가족은 남북 분단 비극의 상징답게 현재 독일, 남북한과 미국에서 흩어져 살고 있다. 기자는 그와는 30년 전부터 인연을 맺어온 바 있다. 단순한 취재원과 기자 사이가 아니었다. 때문에 그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는 마치 가족을 잃은 것 같은 비통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류 위원장의 부음을 들었을 때 역시 그랬다. 다시는 최건국 씨 모자가 당한 비극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하는 비원과 함께 두 분의 명복을 간절하게 빌어본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