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특검 후보 인물난…국조특위, 禹 장모 등 추가 증인 합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61128010018995

글자크기

닫기

맹성규 기자

승인 : 2016. 11. 28. 17:53

야3당 원내수석부대표 회동1
이정미 정의당(왼쪽부터)·박원주 더불어민주당·김관영 국민의당 원내수석부대표가 28일 국회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과 특검후보 추천 등을 논의하기에 앞서 손을 손을 맞잡고 있다. / 사진 = 이병화 기자photolbh@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 3당은 최순실 게이트를 수사할 특별검사 후보를 물색했지만 적당한 인물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는 김장자 삼남개발 회장 등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28일 정치권에 따르면 특검 후보군은 우리법연구회 출신인 박시환 전 대법관, 소병철·문성우·명동성·박영관·임수빈·조승식 변호사 등 전직 검사 출신과 내곡동 사저 부지매입 의혹사건에서 특검을 맡았던 판사 출신인 이광범 변호사 등이 거론된다.

박완주 민주당·김관영 국민의당·이정미 정의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회동하고 “제대로 수사할 수 있는 신뢰감 있는 사람을 추천하자는 데 동의했고, 법정 추천기한인 29일까지 원내대표들이 합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우리 의원들이 많은 후보를 추천했는데 이제 정리가 끝났다”고 말했다. 특히 국민의당은 민주당과 특검 후보군 추천에서 상당 부분 겹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추천 인사들 가운데 상당수가 고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상호 민주당 원내대표도 기자들과 만나 “장관후보 같으면 2~3배수로 말해도 불쾌해 하지 않는데 특검은 본인이 후보로 거론되는 것을 싫어한다”면서 “우리가 추려내고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안 하겠다는 사람이 훨씬 많다”고 말했다.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29일까지 특검 후보자 2명을 확정해야 한다. 두 당이 후보를 추천하면 박근혜 대통령은 그로부터 사흘인 다음달 2일까지 이 중 한 명을 특검으로 임명해야 한다. 특검 활동 기간은 임명 일로부터 90일 내이지만 1회에 한해 30일 연장 가능해 최장 120일 동안 활동하게 된다.

한편 국정조사특위는 이날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의 장모인 김장자 삼남개발 회장, 국민연금의 삼성물산 합병 개입 의혹 관련자들을 증인으로 추가 채택하기로 합의했다. 합의 내용은 29일 전체회의에서 정식으로 채택된다.

김 회장은 최순실씨로부터 차은택씨에 대한 지원을 청탁받았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차씨의 이권개입과 관련된 유진룡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노태강 전 문체부 국장, 김종 전 문체부 제2차관, 송성각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 등도 오는 7일 청문회 추가 증인으로 합의됐다.

국조특위는 국민연금공단 최광 전 이사장과 홍완선 전 기금운용본부장 등은 8일 청문회 추가 증인으로 소환하기로 했다. 또 장충기 삼성전자 미래전략실 차장(사장), 박원오 전 국가대표 승마팀 감독이 추가 증인으로 합의됐으며, 주진형 전 한화투자증권 대표이사와 박창균 국민연금 자문위원 등은 참고인으로 부르기로 했다. 야당은 새누리당 최경환 의원과 최지성 삼성 부회장, 박병원 경총 회장 등도 증인으로 요구했으나 수용되지 않았다.

이에 앞서 새누리당 이완영 의원을 포함한 여야 3당 간사가 회동했으나 야당의 기자회견일 두고 논란이 빚어져 한때 파행을 겪었다. 앞서 특위 소속 야당 의원들은 오전 회견에서 “이완영 간사는 원만한 특위 운영을 주도하긴커녕 오히려 걸림돌이 되고 있다”면서 “새누리당 특위 위원들조차 진박(진박근혜)과 비박(비박근혜)으로 나뉘어 자중지란하고 있어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지적했다.
맹성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