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5월 대선까지 60일, 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 ‘실질적 국정총괄’ 나선다(종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70310010006672

글자크기

닫기

최태범 기자

승인 : 2017. 03. 10. 17:14

이제는 대통령 직무정지 아닌 '궐위'…명실상부한 대통령 역할 맡아
헌재 탄핵 발표 직후 외교·안보·치안·경제분야 대책점검 긴급지시
임시 국무회의-국가안전보장회의-대국민담화 등 긴박한 국정안정 행보
[대통령 탄핵] 대국민 담화하는 황 권한대행
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이 10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관련 대국민담화 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이날 오전 11시 대심판정에서 열린 박 전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의 선고 재판에서 재판관 8명 전원의 일치된 의견으로 파면을 결정했다. /사진=연합뉴스
앞으로의 대한민국호(號)의 국정운영은 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이 총체적인 책임을 지고 이끌게 됐다. 오는 5월 초로 예상되는 대통령 선거일까지 60여일 간 모든 국정은 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황 대행은 그동안 대통령 직무정지 상태에서 대행격으로 국정을 이끌어왔다. 하지만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인용에 따라 이제는 대통령 궐위 상황에서 국정의 실질적인 정책 결정권자로서 명실상부한 대통령의 역할을 맡게 돼 책임이 더욱 막중해졌다.

특히 조기 대선을 앞두고 범보수 진영의 유력한 후보가 없는 상황에서 15% 수준의 견고한 지지율을 기록하며 보수 진영에서는 ‘독보적인 1위’를 하고 있는 황 대행이 국민적 요구에 따라 대선 출마를 결심할지 초미의 관심사다.

황 대행은 대선 출마 여부에 극도로 말을 아끼고 있는 가운데 일단 탄핵정국 이후의 상황과 관련해 국정안정과 국민통합에 적극 나서면서 외교·안보 등 외치에서도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임을 강조했다.

황 대행은 헌재의 탄핵 발표 당일인 10일 공식 일정을 일절 잡지 않고 탄핵심판 결정 이후의 상황에만 대비했다. 오전 8시 50분 정부 서울청사에 출근한 황 대행은 총리실 간부들이 참석하는 회의를 열어 탄핵 심판에 따른 외교·안보·경제·사회·문화 등 분야별 대책을 긴급 점검했다.

오전 11시 21분께 헌재의 탄핵 인용이 발표된 직후에는 국방부·행정자치부·경제부총리·외교부 장관과 연쇄통화를 갖고 해당부처 소관 분야들에 대한 대응과 관련한 긴급 지시를 내렸다.

또 오후에는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국무위원들에게 흔들림 없는 국정운영을 당부했고 이어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어 북한 위협 대비와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반발 등 대내외 안보 불안 요인을 점검하는 한편 전 군의 경계태세 강화를 강조하는 등 긴박한 일정을 보냈다.

특히 이들 일정을 마친 뒤 오후 5시 ‘대국민 담화’를 발표해 향후 국정총괄의 실질적 책임자로서 갖는 각오와 국정운영에 대한 방향을 밝히면서 국민통합과 화합을 위한 각계의 협조와 성원을 당부했다.

황 대행은 대국민 담화에서 “지금도 도저히 납득할 수 없고 승복하기 어렵다는 분들도 계실 것”이라며 “그러나 이제는 수용하고 지금까지의 갈등과 대립을 마무리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황 대행은 “촛불과 태극기를 든 마음은 모두가 나라를 걱정하는 애국심이었다고 생각한다”며 “혼란을 넘어서 화합이 바탕이 되지 않으면 국정안정과 공정한 대선관리는 이룰 수 없다. 정부는 비상 상황관리와 대처에 혼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황 대행은 대선이 치러지기까지 60일 동안 공정한 선거를 관리하는데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표시했다. 또 차기 정부 출범 초기 혼란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정권인수인계 작업에도 각별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대행은 “선거까지 남은 기간이 짧은 만큼 관련부처는 선거일 지정 등 필요한 준비를 서둘러 달라”며 “새 정부의 원활한 출범에 만전을 기하고, 새 정부가 안정적으로 들어설 수 있도록 공정한 선거관리 등 헌법과 법률에서 부여된 책무를 성실히 이행할 것”이라고 했다.
최태범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