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호주 LNG 수출제한 조치, 공급에 직접적 영향보다는 ‘불확실성’ 충격 야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70503010001005

글자크기

닫기

김지수 기자

승인 : 2017. 05. 03. 15:53

Shahamah_LNG_carrier
사진출처=/위키미디어
호주 정부가 시행하는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제한 정책이 불확실성을 야기시켜 자원 분야에 충격을 가져올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의 2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호주 정부는 지난달 27일 가스 업계가 수출에만 매진해 자국 내 가스 부족 현상과 에너지 안보 위기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오는 7월 1일부터 수출 제한 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호주가 액화천연가스(LNG)의 주요 수출국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공급이 부족해 가격 급등 현상이 나타나자 수출 규제 카드를 빼든 것이다. 호주 정부는 앞으로 LNG 생산업체들이 수출 허가를 받기 전 호주 내 공급물량을 늘리도록 할 방침이다.

맬컴 턴불 총리는 성명을 내고 호주의 가정과 기업에도 LNG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세계 최대 LNG 수출국이 된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이번 조치로 인해 호주의 LNG 가격은 더 낮고 공정한 국제 수출가격을 반영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호주 가스업계는 정부의 수출 제한에 대해 우려의 뜻을 밝히고 있지만, FT는 당분간 상당한 과잉 공급이 예상되는 글로벌 LNG 시장에서 호주 정부의 수출제한조치가 LNG 공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오히려 호주 정부의 수출제한 조치가 갖는 중요한 함의는 호주가 금속과 에너지 등 천연자원의 자유로운 이동을 금지하는 보호주의 국가 목록에 이름을 올리느냐의 여부라고 매체는 설명했다. 최근 여러 국가들은 자국의 천연자원 수출에 제동을 걸고 나서는 형국이다. 인도네시아는 올해 제련되지 않은 구리 광석의 수출을 제한하면서 세계 최대 구리 체굴 업체인 프리포트 맥모란과 분쟁을 겪고 있으며, 필리핀은 자국 내 노천광산 채굴을 제한하고 니켈 광석 수출을 줄이기 시작했다.

LNG 수출 제한 움직임은 호주 내에서 정치적으로 포퓰리즘이 부상하고 있는 것과도 연관이 깊다. 지난 총선에서 여당인 자유당-국민당 연합이 대중의 지지를 받지 못하며 의회에서 아슬아슬한 의석수 차이로 다수당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 놓인 맬컴 턴불 호주 총리가 에너지 가격 인하를 내세워 대중의 지지를 구하고 있는 것. 이와 관련 컨설팅 업체 샌포드 C 번스타인의 닐 베버리지 원유 담당 선임 애널리스트는 “호주의 움직임은 매우 정치적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에너지·자원 관련 컨설팅 업체인 우드 맥켄지의 사울 캐보닉 컨설턴트는 호주 정부의 수출 제한조치가 미칠 영향에 대해 “앞으로 수년간은 공급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그러나 정부가 하고 있는 일은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석유·가스 관련 로비 그룹인 아페아의 최고경영자인 맬컴 로버트는 정부가 바다가 아닌 땅에서 LNG를 시추하는 석탄층 가스(CSG) 방식을 규제하고 있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하며 “장기적으로 에너지 안보를 지키는 길은 규제를 없애고 기업들이 가스를 탐사해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더 많은 규제가 아니라 더 많은 가스 생산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김지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