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력 부재, 단기성과 치중이 걸림돌
"LH 등 공사가 성공모델 제시해야"
|
17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수주 총액은 282억원으로 2006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저유가에 따른 발주 감소와 중국·인도 등 신흥국 출현으로 수주 환경이 악화된 영향이 컸다.
신도시 수출은 이런 현실을 타개할 해결책으로 꼽힌다. 우선 신도시 개발 수요부터 풍부하다. UN에 따르면 세계도시인구는 2014년 38억8000만명에서 아시아·아프리카 등 개도국을 중심으로 늘어 2050년에는 63억4000만명에 이를 전망이다. 또한 한국의 신도시 개발 경쟁력은 플랜트와 달리 분당·판교 등 신도시 개발·운영 경험으로 세계적인 수준이다. 더구나 신도시 개발 사업비는 플랜트 공정 이상으로 단위가 커 해외건설의 돌파구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하지만 투자개발 방식의 신도시 수출은 여전히 걸음마 단계다. 1989년 대우건설이 미국 시애틀 노인주택 개발 이후 2014년까지 총 169건, 157억 달러의 투자개발형 해외도시개발사업 수주가 있었지만 대부분 재건축·재개발 수준으로, 대규모 투자개발형 신도시 수출 실적으로 잡을 만한 것은 현재 공사 중인 대우건설의 스타레이크 시티 사업뿐이다. 이 사업은 베트남 하노이에 여의도 면적의 3분의 2 크기인 186만3000㎡를 신도시로 복합 개발하는 총 22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
투자개발형 신도시 수출이 걸음마 단계인 것은 현지의 정보력 부재가 크다. 단순 도급이 아닌 투자개발형 사업의 성패는 충실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사업성 검토가 좌우한다. 특히 중국처럼 대규모 국책은행을 통한 자본 투입이 불가능한 현실에서 사업성과 현지 제도를 면밀히 살피지 못하고는 성과를 내기 힘들다.
실제 국토연구원은 ‘민관협력시스템을 통한 해외도시개발 촉진방안’ 보고서에서 우림건설과 동일토건이 카자흐스탄에서 신도시 사업에 실패한 원인으로 현지 수요층의 소득수준이란 정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던 점을 꼽았다.
단기 성과에 집착하는 국내 건설사의 경영 행태도 투자개발형 신도시 수출을 가로막고 있다. 손태홍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연 단위로 수주목표치를 잡는 지금의 방식으로는 투자개발형 신도시 개발 같은 중장기 사업은 꺼릴 수밖에 없다”며 “중장기 수주 계획은 따로 설정해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사가 신도시 수출의 물꼬를 열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민간보다는 정부가 해외 정보의 접근성이 앞선데다 중장기 전략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공사가 한국형 신도시의 성공 모델을 제시할 경우 민간의 참여 폭도 넓어진다는 점 때문이다.
LH 관계자는 “쿠웨이트가 한국을 택한 것은 다른 나라 업체보다 빠른 LH의 사업 추진 속도를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라며 “압둘라 신도시가 한국형 신도시의 모델로 성공한다면 사우디·이란·인도 등지에서 추가 신도시 건설 요청이 들어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