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바람꽃은 해발 700m 이상의 차가운 (아한대)지역에서 서식하는 바람꽃속 식물로 소백산 해발 1000m 내외의 계곡 주변에서 발견됐다. 한 줄기에서 세 송이의 꽃을 피우기 때문에 ‘세송이바람꽃’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Ⅴ급’과 ‘국외반출 승인 대상종’으로 지정돼 있다.
소백산 세바람꽃 자생지는 면적 10㎡ 정도의 작고 습한 곳이다. 세바람꽃 서식지는 하루에 1~2시간 햇볕이 들면서도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까다로운 생태적 특성 탓에 극히 제한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연구진은 빙하기 이후 한라산에 고립된 세바람꽃이 어떤 경유로 한반도 남쪽 내륙 지역에서도 살게 됐는지 과학적인 이유를 파악할 계획이다. 또한 소백산 세바람꽃의 자생지에 주변의 경쟁 식물이 침입하면 자생지 면적이 줄어들고 상록성 식물 등이 사시사철 그늘을 만들어 세바람꽃의 생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주의 깊게 관찰(모니터링)할 예정이다.
이수형 소백산국립공원 북부사무소장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세바람꽃과 같은 북방계식물이 위협받고 있는데 소백산이 이러한 식물의 안식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관리를 수행할 것”이라며 “세바람꽃이 소백산에서 안정적으로 서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보전 노력을 펼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