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제, 대북대화 가능…대북·대일 외교정책 기초자료 되길"
|
이장희 아시아사회과학연구원장은 27일 국회에서 열린 ‘북한의 독도·동해 표기 등 해양법 연구의 분석과 남북한 협력방안’ 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한국해양수산개발연구원,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함께 이번 포럼을 열었다.
이 원장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는 정치·군사적으로 매우 엄중하다”며 “독도 문제와 동해표기 연구,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관련한 북한의 해양법 연구 현황을 차분하게 분석하는 것이 향후 남북한 협력 방안과 한반도 분쟁의 평화적 관리차원에서 매우 필요하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평양을 9차례 방문하면서 학자교류를 하다보면 북한에서는 보통 역사학자들이 나온다”며 “역사 문제 만큼은 남한과 북한이 이야기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원장은 “민족 에너지를 통합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독도”라며 “이번에 논의된 내용을 갖고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를 통해 북쪽에 정식으로 교류 협력을 제의해 볼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원장은 “향후 이 연구가 통일부, 외교부, 국방부가 대북정책과 대일 외교정책 수립 때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독도로 민족 에너지 통합…민화협 통해 북한에 교류협력 제의할 것”
홍익표 의원은 이날 격려사에서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로 인한 군사적 긴장감이 점점 높아지며 대화의 필요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 절실해졌다”고 진단했다. 홍 의원은 “학계에서나마 독도가 남북한 공통분모의 하나로서 남북한 관계개선 타개의 여지가 되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또 홍 의원은 “지속가능한 남북관계 발전은 중요한 과제”라며 “평화와 남북협력을 위한 접촉과 대화 재개라는 원칙과 기조가 정착된다면 충분히 긍정적인 결과를 견인할 수 있다”고 남북관계를 희망적으로 내다봤다.
이날 포럼에서 발제를 맡은 홍성근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남북간의 독도 연구 비교와 관련해 “남북간에는 독도가 우리의 고유영토라고 보는 논거도 같고, 과거 일본 제국주의의 한반도 식민침탈의 희생물로 보는 시각에도 차이가 없다”고 분석했다. 홍 위원은 “남북 전문가 토론회, 안용복을 소재로 한 공동 영화 제작 등을 통해 남북 교류 협력을 유도하거나 촉진시키는 역할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동해 명칭 관련 토론에서는 북한은 독도와 동해 명칭에 대한 연구에 있어 한국 역사사료, 동서양 고지도 등을 분석해 한국의 고유의 영토와 고유 명칭임을 증명하고 있음을 들어 남북이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북한의 국제해양법 관련 세션에서 토론자들은 남북간 협력방안으로 국내적으로 남북의 해양법 학자들의 연구 교류와 국제적으로 국제해양 교육프로그램에 남북 해양법학자들의 참가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