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19일부터 ‘지음: 시간의 흔적, 미래로 펼치다’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에서는 국악원 국악아카이브가 소장한 약 35만점의 자료 가운데 포스터, 팸플릿, 사진, 음향, 영상 등 약 400여점이 공개된다.
1980~1990년대를 조명한 ‘1마당’에서는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 1990년 범민족통일음악회, 1994년 국악의해, 1998년 아비뇽축제 한국주간 행사 등 국악계의 변화를 끌어낸 주요 행사에 대한 각종 자료를 볼 수 있다.
서울올림픽 개폐회식 총감독을 맡았던 이어령 씨, 국악의 해 조직위원장이었던 황병기 씨, 박일훈 전 국립국악원장, 범민족통일음악회에 참가한 윤인숙 씨, 최준호 전 프랑스문화원장 등 행사에 참여했던 인물들의 구술 영상을 통해 당시를 재조명한다.
‘2마당’에서는 2000년대를 전후해 나타난 국악원 공연의 변화를 조명한다.
21세기 무대예술로 재탄생시킨 궁중연례악과 제례악 시리즈 등 다양한 소재와 형식으로 이어진 음악극의 흐름을 만날 수 있다. 의상·무대 스케치, 대본, 악보 등 공연 제작 과정에서 만들어진 자료들이 함께 공개된다.
전시는 내년 4월 1일까지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