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작품 전시는 ‘고향회귀의 노래’ 시리즈로 11번째, 국내에서 3년 만의 개인전이다. 아울러 이번 개인전은 프랑스에 1년간 연구년을 다녀온 김 교수의 귀국전 형식으로 개최된다.
앞서 ‘고향회귀의 노래’라는 테마로 10차례 국내외 개인전을 가졌던 김 교수는 이번 전시에서 ‘노스탤지어’ ‘치유’ ‘꽃’ ‘빛’을 작품의 이슈로 삼았다. 한국적 시골 정서와 고향의식의 ‘노스탤지어’에 건강에 좋은 꽃과 황금색, 호박색, 배추색 등을 프랑스 화가 피에르 보나르(1867∼1947)처럼 사용했다.
작가의 트레이드 마크인 누렁소는 여전히 화면의 주인공이다. 고향의 바람, 향기, 피리 소리, 촉감 등 비시각적인 오감도 그림 곳곳에서 느낄 수 있다.
김 교수는 작가노트에서 “해바라기, 진달래, 메밀꽃, 유채꽃, 붓꽃, 도라지꽃 등은 하나같이 인간 질병을 치료하는 약효를 함유하고 있고, 시각적으로 정서적인 ‘고향’을 반추하게 한다”면서 “이번 전시가 팍팍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정신적, 육체적인 치유의 효능을 발휘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