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김현 대변인은 “사필귀정”이라며 “한국당은 두 의원 구속에 대해 함구하지 말고 국민 앞에 머리 숙여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김 대변인은 “최 의원은 남재준 전 국가정보원장에게 청와대에 매달 5000만 원씩 특수활동비를 보내달라고 요구하고, 이병기 국정원장에게 매달 상납액을 1억 원으로 늘려달라고 요구했다는 새로운 정황도 나온 만큼 검찰은 적극 수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대변인은 이 의원에 대해 “공천심사위원 활동과 국회 상임위 국토교통위원 업무 과정에서 받은 돈이라는 혐의가 짙은 만큼 철저히 수사해 달라”고 강조했다.
김철근 국민의당 대변인은 “사필귀정”이라면서 “국회의원직과 정부직을 이용한 범죄라면 일벌백계 차원에서라도 엄벌해야 할 것”이라고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김 대변인은 “전 정권의 최고 실세였던 두 의원이 국민이 부여한 자리와 권한을 남용해 본인의 사리사욕 채우기에 급급했던 정황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국회 회기 중이라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뒤에 숨어 있다가 이제라도 법의 심판대에 서게 돼 다행”라고 밝혔다.
권성주 바른정당 대변인은 “국민을 위해 봉사하고 솔선수범해야 하는 의원이 불법을 자행한 것은 일벌백계돼야 한다”며 “검찰은 철저하고 균형잡힌 수사를 통해 정치권의 잘못된 폐습을 도려내 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최석 정의당 대변인은 “국가정보원 특활비, 공천 헌금 모두 한국당을 넘어 전 정권과 연관된 적폐인 만큼 검찰은 혐의와 관련자들을 명백히 드러내야 할 것”이라며 “한국당 또한 정치 보복과 같은 물타기는 그만두고 무거운 책임감으로 수사에 협조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한국당은 두 의원의 구속과 관련해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두 의원의 구속을 개인비리로 선을 긋고 당으로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당내에서는 ‘정치보복’이라는 기류와 함께 지방선거를 앞두고 ‘친박청산’ 혁신작업이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