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여성후보 민주 0명, 한국 1명…광역단체장 ‘우먼파워’ 실종

여성후보 민주 0명, 한국 1명…광역단체장 ‘우먼파워’ 실종

기사승인 2018. 05. 07. 17:2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PYH2018041609690005100_P4
지난 4월 16일 부산 남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부산시 선관위 주최로 열린 다문화 이주여성 사전투표 체험행사에서 이주여성들이 투표하고 있다./연합
6·13지방선거에서 광역단체장 여성 후보자가 기근현상을 보이고 있다. 기초단체장이나 광역·기초의원 선거에 출마하는 여성 후보자들이 있기는 하지만 지방선거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광역단체장에 도전하는 여성 후보를 찾기는 어렵다.

7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 광역단체장 후보자 가운데 여성 후보는 거의 없다.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시·도 지사 후보 17명 모두를 남성으로 공천했다.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도 세종시장 송아영 후보 1명만 여성으로 공천을 확정지었다. 한국당은 현재 호남 3곳을 빼고 현재까지 14곳의 후보를 확정했다.

9곳에 후보를 낸 바른미래당 역시 여성후보는 없다. 8개 시·도 후보 공천을 마무리한 정의당도 박주미 부산시장 후보만 여성 후보자다.

광역단체장 경선에 도전한 여성 출마자도 손꼽힐 정도로 적었다. 민주당에서 박영선 서울시장 예비후보와 홍미영 인천시장 예비후보, 양향자 광주시장 예비후보만 여성 경선 후보자로 이름을 올렸을 뿐이다.

문제는 여성 후보 기근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1995년 시작된 역대 지방선거에서 광역단체장으로 여성이 선출된 적이 없을 정도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0년 지방선거에서 여성 광역단체장 후보는 3명, 2014년 지방선거에선 1명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남녀평등을 실현해야 할 정치권에서 여성 후보 인물난이 벌어지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그간 정치권은 여성할당제를 만들어 선거에 출마하는 여성들에게 유리한 구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그러나 공천 결과만 놓고 보면 이렇다 할 변화가 이뤄지지 않은 게 현실이다.

앞서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가 3·8 여성의 날 110주년을 맞아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0년 동안 여성 공무원 현황 및 여성 관리자 임용확대계획을 분석한 결과도 이러한 현실을 고스란히 보여줬다.

자료에 따르면 여성 공무원 비율은 증가 추세지만 고위직은 직책에 오르는 경우는 극히 적었고 성비 불균형 문제도 해소되지 않았다. 당시 노 원내대표는 “정부는 유리천장을 부수는 데 매진하는 것은 물론 여성 공무원 인사차별에 대한 점검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여성의 정치적 진출을 막는 주요 원인으로 여성 인재 풀의 부족을 꼽는다. 충분한 역량을 갖춘 여성들의 정치적 진출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선 사회 저변에서 활동하는 여성 인재들이 많아야 하는데 아직 그러한 사회적 인프라가 부족하는 것이다.

정치권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비례대표 1순위는 여성 몫으로 주는 등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여성후보의 정치적 진출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경선과정에서 여성 후보들이 선출되는 경우가 적고 여성 인력 자체가 많지 않다는 점도 원인으로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여성 후보가 본선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이유를 들기도 한다. 여성의 사회적 진출을 막는 유리천장이 엄연히 존재하는 셈이다. 이에 대해 여야 정치권에서는 여성을 비례대표에 포함시키거나 당선이 가능한 지역으로 배치하는 등의 정치적 배려를 하는 묘수를 내고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