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 청와대 비서관 “박근혜, 이한구 통해 새누리당 경선 개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80703010002024

글자크기

닫기

이욱재 기자

승인 : 2018. 07. 03. 18:51

20160330000907195_1
이한구 전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장./송의주 기자
2016년 4·13 총선을 앞두고 친박계 후보들이 새누리당 공천을 받는 데 유리하도록 당시 청와대가 세부적인 공천 룰을 연구해 이한구 당시 공천관리위원장에게 제공했다는 증언이 법정에서 나왔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2부(성창호 부장판사) 심리로 3일 열린 박근혜 전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신동철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과 박 모 행정관은 이 같은 내용을 증언했다.

이날 재판에서 신 전 비서관은 2015년 11월 현기환 당시 정무수석으로부터 ‘20대 총선에 최대한 친박 의원이 많이 당선되도록 전략을 기획하라’는 지시를 받고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밝혔다.

당시 새누리당의 대표였던 김무성 현 자유한국당 의원이 100% 일반 국민이 참여하는 ‘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의 공천을 진행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당시 청와대가 이에 대응할 공천 룰을 연구했다는 의미다.

신 전 비서관은 김 전 대표가 주도한 방식의 공천이 실행될 경우 인지도가 높았던 현역 비박계 의원들에게 유리해지며 당선된 의원들이 비박계 수장인 김 전 대표에게 호의적으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청와대에 깔려있었다고 설명했다.

신 전 비서관은 “실제 경선에서도 청와대의 공천 룰이 상당 부분 반영됐다”며 “이 전 위원장이면 해주리라는 믿음이 있었다”고 증언했다. 아울러 “공천은 권력 전체의 기반을 다투는 문제이기 때문에 (대통령의) 상의나 지시 없이 현 전 수석이 독자적으로 할 수는 없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박모 전 정무수석실 행정관도 “현 전 수석이 행정관 회의 자리에서 ‘대통령이 오케이를 했으니 문건대로 진행하라’고 말했다”고 증언했다.

이들의 주장에 박 전 대통령 측 변호인은 “이 전 위원장의 임명은 2016년 2월인데, 청와대가 공천 룰 자료를 작성한 시기는 2015년 11월 이었다”며 “누가 공천관리위원장으로 올 지도 모르는데 어떻게 청와대가 작성한 공천 룰이 실제로 반영될 지 확신하겠느냐”고 반박했다.

이날 재판은 공천 룰의 수립 과정과 관련해 검찰이 추가로 증인과 증거를 신청함에 따라 열렸다.

재판부는 오는 20일 해당 재판의 선고 공판을 열기로 했다.
이욱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