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11월 다가온다… 이란산 원유수입 제재 ‘폭풍전야’

11월 다가온다… 이란산 원유수입 제재 ‘폭풍전야’

기사승인 2018. 09. 10.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이란산원유 수입 월평균 36% 축소 중
美 원유수입 제재 앞두고 협상 녹록치 않아
정유·화학사, 원료 수입선 바꾸느라 ‘진땀’
유가상승 여파에 한전 실적악화 이어질까
이란산원유수입물량및비중추이
미국의 11월 이란 무역제재 시한을 앞두고 국내 기업들이 철수 움직임을 본격화하는 가운데, 국내 원유수입의 13%를 차지하는 이란산 수입 역시 중단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예외 국가로 지정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불발시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전망이다.

9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이란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원유 수입물량은 올들어 1월부터 7월까지 월평균 전년비 36% 감소했다. 특히 미국의 무역제재가 있었던 5월이후 감소량은 6월 41.0%, 7월 45.8%로 두드러진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이란산 원유 수입물량이 전년대비 32.1% 증가한 것과 비교해보면 대규모 감축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이는 정부와 정유업계가 대이란 제재 재개를 선언한 미국으로부터 수입제한 예외를 인정받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앞서 트럼프 정권은 이란 핵 합의 탈퇴 선언에 맞춰 지난달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의 하나로 오는 11월 4일까지 이란산 원유 수입 중단을 일본 등 각국에 요청했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미국 금융기관과 거래를 하지 못하게 되는 등 소위 ‘세컨더리 보이콧’ 조치를 받을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원유 수입량을 대폭 감축하면서 수입 중단 대상국가에서 예외 조치를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쉽지 않을 전망이다. 외신에 따르면 이미 일본의 정유회사들은 감축노력이 인정받지 못하자 10월까지 이란산 원유 수입을 중단하기로 발표하기도 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원유수입 인정 요건이 상당한 감축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예외인정을 받더라도 많은 양을 줄여야 한다”면서 “만약 예외인정이 안될 시엔 대체 수입선을 열심히 찾아봐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의 입장은 매우 강경하기 때문에 과거보다 협상이 어려운 상태다.

이란산 원유를 수입하지 못하게 되면 1차적 손실은 이를 수입·가공하는 정유·화학사들이 감내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전체 원유수입의 13.2%를 이란으로부터 사들이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다음으로 많다.

특히 현재 이란산 원유의 70% 정도는 콘덴세이트(초경질유)로, 2016년 대이란제재 해제 이후 전체 콘덴세이트 국내 도입량의 54%를 차지하고 있다. 이란산 콘덴세이트가 질도 좋지만, 무역제재 조치가 완화된 이후 실적을 만회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가격을 낮춰왔다.

따라서 국내 정유·화학사들 중 이란산 원유 의존도가 높았던 업체들은 더 비싼 원유를 사들여야 한다. 원료비 상승에 따른 실적악화가 우려되는 대목이다. 수입량이 많은 한화토탈 등은 이미 미국 등으로 수입선을 선회하며 대비에 나선 상태다. 더 나아가 이란산 원유 공급이 끊긴 글로벌 유가는 상승추세로 이어지며 정유·화학사들의 실적을 더 압박할 수 있다.

국제유가 상승은 또 대체재인 가스값 동반 상승을 부추긴다. 이는 정부의 친환경에너지정책 등으로 원자력·석탄 대신 가스화력발전소 가동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전기를 사들이는 한국전력의 실적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가뜩이나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한전은 직간접적으로 전기료 인상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 또 가스 수입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에너지 수입액이 더 늘면 무역수지 흑자폭을 감소시키고 국내 물가 상승도 우려된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이란 원유수입 제한 예외국가로 인정받기 위한 정부 노력이 필수적”이라며 “특히 국내 정유업계도 이란산 수입을 대체할 오만·아랍에리미트, 또는 미국 등의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