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울산시,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 기본계획 수립’ 완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81014010007094

글자크기

닫기

김남철 기자

승인 : 2018. 10. 14. 14:45

물순환 목표량 설정, 우선 사업지역 선정 등
울산상수도사업본부
울산상수도사업본부/제공=울산시
울산시의 물순환 환경을 조사 분석해 물순환 정책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 기본계획’이 수립됐다.

14일 울산발전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은 기준연도 2017년, 목표연도 2026년을 기준으로 지난해 6월부터 올해 8월까지 용역을 수행했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물순환 회복률’은 울산시 전체 74.76%, 시가화지역 61.99%, 비시가화지격 86.94%로 나타났다.

‘물순환 목표량’은 강우량 25㎜, 강우강도 4.2㎜/h로 설정했다. ‘물순환 관리지역’은 시가화지역, 비시가화지역, 산업단지역으로 나눠 각 지역별로 우선 순위를 선정했다.

시가화지역은 중구 학산동, 비시가화지역은 중구 다운동, 산업단지지역은 온산읍이 우선 사업지역 1순위에 해당한다.

‘저영향개발(LID) 시설’ 도입 시 우수유출 조절효과로 울산시 전체 첨두유출 저감율은 30.53~43.23%으로 조사됐다.

또한 온실가스(CO2)는 연간 4600톤 저감되며 울산시 전체 0.5℃의 열섬저감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비점오염원 저감효과로 BOD가 연간 834톤, T-N이 126톤, T-P가 19톤 저감되는 것으로 산정됐다.

물순환 목표량을 달성하기 위한 소요예산은 단기1차(2020년까지) 기간에 120억원, 단기2차(2021~2025년)에 778억원 등 최종목표연도 2065년까지 총 5090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울산시 물순환 목표량 설정 등 물순환 선도도시 기본계획이 수립돼 시범사업인 LID시설 설치 등 물순환 정책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김남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