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빈혈이 있는 20∼30대 여성이 증상을 적절히 관리하지 못하면 장기적으로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일 중앙대병원·서울대병원 건강증진센터 공동 연구팀에 따르면 국가건강검진 빅데이터를 활용해 20∼39세 여성 80만명을 대상으로 2년간의 헤모글로빈 수치 변화가 10년 후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심장학회지’ 최신호에 발표됐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적혈구 내 헤모글로빈(혈색소) 농도로 정한 성인 빈혈 기준치는 남자 13g/㎗ 미만, 여자 12g/㎗ 미만이다. 연구팀은 2년 동안 헤모글로빈 수치가 정상범위를 벗어난 경우 10년 뒤 급성심근경색·뇌졸중·뇌혈관질환 등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위험이 전반적으로 커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헤모글로빈이 12.0g/dL 미만인 경우 빈혈, 12~13.9g/dL인 경우 정상범위, 14.0g/dL 이상인 경우 헤모글로빈이 높은 군으로 구분해 조사했다. 그 결과 헤모글로빈 농도가 12.0g/㎗ 미만이거나 14.0g/㎗ 이상인 경우 뇌졸중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특히 관찰 기간에 헤모글로빈 농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많이 증가한 경우에는 10년 후 급성심근경색과 뇌졸중 위험이 각각 50%, 10%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빈혈인 여성이 2년 후 헤모글로빈 농도가 정상범위로 개선된 경우에는 총 사망위험이 20% 감소했다. 특별한 질환이 없는 젊은 여성일지라도 빈혈을 방치하면 심뇌혈관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만큼 평소 철분제를 꾸준히 복용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경실 중앙대병원 건강증진센터 교수는 “젊은 여성의 빈혈은 90% 이상이 철분 결핍이 원인으로, 젊고 건강한 여성은 빈혈이라고 해도 철분제 복용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 빈혈 개선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며 “이번 연구는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 발병 위험성을 줄이는 차원에서 철분제 복용과 함께 정기적인 헤모글로빈 선별검사가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