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이 주관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토론회’가 2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열렸다. 2040년까지 우리나라 에너지 정책의 기본 바탕이 될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대한 의견 수렴 자리다.
이날 이상학 전자부품연구원 에너지IT융합센터장은 ‘에너지분야 4차산업혁명의 영향 및 대응전략’을 통해 “기술혁신·정책지원·시장체계 구축으로 성공적 에너지 전환과 에너지산업의 도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술혁신을 통해 에너지 생산·전송·소비의 급격한 변화, 복잡도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방침이다.
이 센터장은 “소비와 공급 유연성 제고, 고부가가치 서비스의 지속적 유입이 필요하고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등 ICT 융합 서비스를 통해 편의와 효율을 제공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신기후체제 대응 고효율·저탄소 사회로 발전하기 위한 기반 구축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에너지 공급서비스를 고도화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이 공존하는 인프라를 완성해야 한다는 게 골자로, 실시간 생산·소비 정보 공유를 통해 자율적 합리적 소비를 유도하고 소비자가 환경에 기여할 수 있는 그린에너지 선택도 확대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부와 에너지공기업의 정책 지원으로 에너지 공급·수요의 혁신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측면도 언급했다. 이 교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검증, 사업화까지 이를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하다”며 “에너지 생산과 소비 관련 빅데이터 공유가 가능토록 제도를 마련하고 시장의 개방성, 중립성을 높일 수 있는 체계도 개편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 센터장 외에도 조현춘 에너지기술평가원 본부장이 ‘권고안에 나타난 에너지산업 정책방향’에 대해 주제발표 했다.
박진호 산업통상자원 R&D 전략기획단 에너지산업MD가 ‘미래 에너지산업 육성 전략’에 대해 1부 토론의 좌장을 맡았고 김희집 서울대 공학전문대학원 교수, 이기욱 KT 에너지플랫폼사업단 상무, 이수일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양태현 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전지연구실 PD가 토론에 나섰다.
‘4차 산업혁명과 에너지전환 시대에 에너지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한 2부 토론에선 이달석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산업연구본부장이 좌장을 맡았고 염학기 에너지기술평가원 원자력PD, 김현철 대한석유협회 상무, 이호무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우충식 한국집단에너지협회 본부장이 토론자로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