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도서관, 서민의 생활밀착형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도서관, 서민의 생활밀착형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기사승인 2019. 01. 23. 19:5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발표...공공도서관 426개 추가
ㅇ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제공=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이 서민들이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생활밀착형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소통과 체험의 장이 된다.

공공도서관에 인공기능(AI) 기술을 적용해 취업, 육아, 의료 등 다양한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를 확대하고, 장애인, 노인,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가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다.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을 발표했다.

도서관법에 근거해 각 분야 전문가와 관계 부처, 일반 이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마련한 이번 계획에는 사람에 대한 포용성, 공간의 혁신성, 정보의 민주성을 핵심 가치로 삼아 마련한 4대 전략방향(목표)과 13개 핵심과제, 36개 추진과제가 담겼다.

이를 통해 2017년 말 현재 1042개인 공공도서관 수를 2023년까지 1468개로 늘리고, 작은도서관 수도 같은 기간 6058개에서 6820개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국민 1인당 장서 수도 2.03권에서 2.5권으로 늘릴 계획이다.

신기남 도서관정보정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광화문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나라의 모든 도서관이 개인의 삶과 공동체 성장의 든든한 지원자로서 국민으로부터 사랑받고, 따뜻한 포용 국가의 핵심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이번 3차 계획을 내실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상복 한국도서관협회장은 “지금까지 도서관은 중산층 중심이었으나 앞으로 서민층의 이용을 확대하고, 계층간 정보불평등을 해소하고 만인이 공평하게 이용할 수 있게 접근의 편의성을 개선하는 것이 이번 3차 계획의 주된 목표”라고 설명했다.

우선 도서관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미래 시민역량을 강화하는 발판으로 삼기 위해 인문·문화·예술·체험프로그램과 소통·토론형 사회적 독서 프로그램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시공간의 제약으로 도서관 활용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디지털 정보 서비스를 확대하고, 도서관 이용자별 생애주기에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기로 했다.

전문도서관은 기후·의료·공공정보 등 생활 밀착형 전문 정보의 대국민 서비스를 확대하기로 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대표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을, 국회도서관은 국민을 위한 의회·법률정보 서비스를 강화하고, 법원도서관은 국가법률정보 대국민 서비스를 확대한다.

고령화, 국제화, 정보기술 발전으로 인한 정보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했다. 도서관에 최적화한 정보불평등 지수 측정 도구를 개발해 활용하고, 정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보와 매체 활용 교육을 강화한다.

군인, 환자, 수용자, 장애인 등 특수 환경 이용자들을 위한 도서관 기반시설(인프라)을 개선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다.

공간적 측면에서는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하는 휴식공간, 카페 등 개방 공간을 늘리고, 지진·한파 등 각종 재난 시 안전 공간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장애인, 노인,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가 도서관시설을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확대하기로 했다.

서비스 측면에서는 문화·인문교육, 아이돌봄 서비스, 취업 지원 프로그램 등 사회서비스와 도서관서비스의 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재외 한국인을 위한 서비스와 다문화 서비스도 활성화한다.

미래형 도서관을 구축하기 위해 운영 시스템을 개선하고 혁신 서비스도 도입한다.

도서관 인력 충원과 사서 재교육을 진행해 조직역량을 강화하고, 범부처 차원의 도서관 정책기구로서의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역할도 높인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지역대표도서관을 연결하는 국가 도서관 협력체계 구축, 남북한 도서관 교류·협력 방안 마련, 국제교류 강화 등을 통해 국내외 도서관 협력체계도 강화할 방침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