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中 4차산업 굴기… 비상등 켜진 韓 산업계 “전략적 대응 시급”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90428010019199

글자크기

닫기

최원영 기자

승인 : 2019. 04. 29. 06:00

양회서 ‘신산업 육성책’ 제시… 5G·수소차 등
산업硏 “기술격차 유지, 민관 전략적 대응 시급”
“中시장 급팽창, 기회로 활용해야” 시각도
Print
중국이 올해 4차 산업혁명을 가속화 하는 정책을 채택하면서 이미 같은 길을 걷고 있는 우리와 치열한 접전을 벌이게 됐다. 이는 중국이 앞서 있는 인공지능(AI)·빅데이터뿐 아니라 우리나라가 집중하고 있는 스마트팩토리·5세대이동통신(5G)·수소전기차까지 미래 먹거리 전 영역에 걸쳐 있어 정부와 기업 간 전략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진단이다.

28일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열린 올해 중국 양회의 산업정책 핵심 키워드는 4차 산업혁명이다. 중국은 미·중 통상 분쟁을 우려해 ‘중국제조 2025’에 대한 언급은 없었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관련 기술혁신과 제조업 구조고도화, 신산업 육성정책 등을 제시했다.

양회(兩會)는 중국 국가 최고 권력기관인 전국인민대표회의와 최고 정책자문기구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통칭한다. 한 해의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회의로, 정해진 산업 방향에 맞춰 중국 정부와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와 협력이 이뤄진다. 미국과의 무역협상을 마무리 짓는 내달 이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양회에서 차세대 정보기술(IT)·첨단장비·제약·바이오·신소재·신에너지자동차(xEV) 등의 신흥산업군 육성을 강조했고, 바이두와 샤오미가 앞장서기로 했다. 특히 수소차의 경우 ‘수소에너지 설비 및 충전소 건설’이라는 문구가 정부 업무보고에 최초로 언급됐다.

문제는 4차산업 혁명 관련 부문은 우리가 미래 먹거리로 지목하고 총력전을 벌이고 있는 산업일 뿐 아니라 이미 중국이 우리나라보다 대부분의 영역에서 기술 우위에 올라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 중국과 비교해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이차전지·사물인터넷(IoT) 가전 등에선 우위에 있지만, AI와 지능형반도체·바이오헬스·자율차 등에서는 뒤져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가 경쟁우위에 있는 산업에서 중국과 기술격차 유지를 위한 전략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반응이다. 수소 인프라·수소저장기술에 대해서도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과 기술개발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봤다.

다만 4차산업 혁명 관련 육성을 위해 중국 내수시장이 급팽창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우리가 기회를 잘 포착한다면 경쟁력을 보유한 IoT 가전 등의 중국 수출전략이 먹힐 수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또 중국서 개화하는 대규모 수소차시장은 우리와 상호보완적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봤다. 조은교 산업연구원 박사는 “중국의 기술혁신 중심 산업정책·내수 활성화 정책은 우리에게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부여한다”며 “소비촉진 정책·환경산업 육성·지역 혁신 전략 추진 등 시장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분야의 양국 간 산업협력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원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