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발발 69주년 직후 판문점 방문 가능성도 거론
|
이번 정상회담은 최근 북·미 핵 협상이 교착상태인 상황에서 한·미 두 나라 정상이 대화의 모멘텀을 살리기 위한 외교적 노력에 나선 것이어서 북한이 어떤 식으로 반응할지 주목된다.
또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정상회담으로 이뤄진다면 북·미 핵협상에 다시 탄력이 붙을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이 한반도 비핵화·평화프로세스의 새 전기를 만들수 있을 지에 관심이 쏠린다.
청와대와 백악관은 16일(한국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6월 하순 일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방한해 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고 밝혔다.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 ‘노딜’ 이후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교착상태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18개월만에 북한이 최근 두차례에 걸쳐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했다. 한반도 비핵화·평화프로세스가 난관에 봉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시점에서 한·미 정상이 마주 앉게 됐다.
◇트럼프 방한 한반도 비핵화 전전 메시지
다음달 28~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 기간 현지에서 얼마든지 한·미 정상회담이 가능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해 정상회담을 갖기로 한 것은 한반도 비핵화·평화프로세스를 진전시키기 위한 특별한 메시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일정이 구체화 되지는 않았지만 G20 정상회의 일정을 고려하면 한국전쟁 발발 69주년 직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11월 7~8일 첫 방한 당시 문 대통령과 함께 비무장지대(DMZ)를 방문하려 했지만 기상 문제로 일정을 취소한 바 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방문하려고 했던 곳은 군사분계선(MDL)에서 25m 가량 떨어진 오울렛 초소(OP)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방한에서는 한국전쟁의 상징인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방문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문 대통령이 함께 9·19 군사분야 합의에 따라 비무장화가 완료된 JSA을 방문해 지난해 4·27 남북정상회담 당시 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함께 걸었던 ‘도보다리’를 직접 밟는 모습이 전 세계에 전해진다면 특별한 메시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형식적인 측면에 더해 내용적으로도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실질적인 비핵화 협상의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전에 남북접촉이 필요하다는 견해가 있다.
지난달 11일 워싱턴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에게 “남북정상회담 또는 남북 접촉을 통해 한국이 파악하는 북한의 입장을 가능한한 조속히 알려달라”라고 요청한 바 있고 이에 문 대통령은 “조만간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었다.
◇문 대통령 한·미 정상회담전 남북접촉 필요
이런 상황은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기 전 김 위원장의 입장을 확인하기 위해 어떤 방식이든 남북 간 접촉을 해야할 필요성을 높인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 방한을 계기로 북한과의 접촉을 통해 대화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 북·미 두 정상을 비핵화 테이블로 끌어들이는 데 공을 들일 것으로 보인다.
핵심은 북·미 간 비핵화 로드맵을 둘러싼 차이를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다. 즉 문 대통령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 전까지 비핵화 로드맵을 두고 견해차를 보이고 있는 북·미의 간극을 해소하는 해야 할 과제를 떠 안았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현재 북핵문제 해법 등과 관련해 한·미 정상간 의견이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이나 문 대통령은 모두 한·미동맹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생각은 공유하고 있다”며 “이런 맥락에서 6월 한·미 정상회담이 개최되고 또 의제가 논의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다만 신 센터장은 “한달여 앞으로 예정된 한·미정상회담에 앞서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전향적 조치를 이끌어 냄으로써 다시 미국의 입장 변화를 견인해야하는데 북한의 반응이 없어 현실적으로 남북정상회담 개최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