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마켓파워]일본 수출규제 여파에 한일 합작회사에도 불똥튀나

[마켓파워]일본 수출규제 여파에 한일 합작회사에도 불똥튀나

기사승인 2019. 07. 08.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SK, 화학재료 제작 등 계열사 7곳
일본 자금비중이 4대 그룹 중 최다
LG, 배당금 중 500억 일본으로 넘어가
삼성 등 5~6곳 계열사도 투자받아
계약 불발 등 합작사업 피해 우려
Print
일본 정부의 반도체 핵심소재 수출 규제로 일본기업 합작법인에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내 소비자들 사이 일본 제품 불매운동 여론이 확산되고 있고 일본 자금이 투입된 회사에도 비난 여론이 확대되면서 합작사업에 차질이 생길까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특히 국내 4대 그룹 중 SK그룹이 일본 자금을 받은 계열사를 가장 많이 둔 것으로 나타났다. LG그룹의 경우 계열사가 실시한 배당을 통해 500억원 규모가 일본기업으로 넘어간 것으로 집계됐다.

5일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4대 그룹 중 SK그룹이 일본 기업으로부터 투자를 받은 계열사가 7개로 가장 많다. 대부분 화학재료 제작 및 납품을 위주로 하는 계열사들이다.

이 중 미쓰이케미칼앤드에스케이씨폴리우레탄은 SKC와 일본의 미쓰이화학이 각각 50%를 출자한 법인이다. 매출액은 3938억원에 달하고 순이익도 457억원 규모다.

미쓰이케미칼앤드에스케이씨폴리우레탄의 일본법인과 금호석유화학이 공동출자한 금호미쓰이화학 역시 SK그룹의 계열사다. 작년 연간 매출 9080억, 순이익 2004억원을 올리는 등 호실적을 기록 중이다.

이 외에 일본의 JJXTG Nippon Oil & Energy Corporation이 50%를 출자한 울산아로마틱스, 30%를 출자한 유베이스매뉴팩처링아시아의 매출액도 각각 2894억원, 716억원 규모다.

삼성그룹의 경우 계열사인 에스원에 일본계 자금이 들어가 있다. 에스원은 보안시스템, 건물관리, 콜센터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업체다. 현재 에스원의 최대주주는 일본 세콤(SECOM)으로 25.6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 1조9983억원, 순이익 1011억원을 올리는 등 규모도 크다. 이와 함께 일본 세콤으로 흘러들어간 배당금은 244억원 규모다. 에스원은 에스원씨알엠·휴먼티에스에스를 100% 자회사로 두고 있는 만큼 해당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조다.

LG그룹의 경우 4대그룹 중 가장 적은 합작법인을 뒀다. 다만 일본기업으로 넘어간 배당금 규모는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3개 계열사 중 실적이 가장 좋은 곳은 일본의 스미토모화학·일본촉매가 각각 25%의 지분을 보유한 엘지엠엠에이다. 지난해 8260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1756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배당금 역시 1020억원으로, 스미토모화학과 일본촉매에 각각 255억원씩 넘어갔다.

LG그룹의 방계인 LS그룹의 경우 자회사인 엘에스니꼬동제련은 일본계 회사인 JKJS(Japan Korea Joint Smelting)가 지분 49.9%를 보유하고 있다. 엘에스니꼬동제련은 LS그룹의 계열사인 지알엠·토리컴·선우·씨에스마린 등을 100% 자회사로 두고 있는 만큼 일본 JKJS의 영향력이 뻗칠 수 있는 구조다.

엘에스니꼬동제련은 지난해 기준 매출 7조2241억원, 순이익 1793억원을 기록했다. 호실적을 기록한 만큼 주주들에 900억원 규모의 배당을 실시했는데, 주주인 JKJS에도 449억원의 현금이 흘러들어갔다는 분석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의 경우 일본과의 합작회사를 두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내에서도 일본의 수출 규제에 따라 일본제품 불매 운동 등 부정적인 여론이 확산되고 있어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일각에선 일본 기업이 투자한 법인들은 대부분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가 아닌 B2B(기업과 기업 간 거래)인 만큼 실제 여파는 적을 것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들 기업은 금·은 등의 제조 및 판매, 화학원료·재료 제조 및 판매 등을 영위하고 있어서다.

하지만 한일 기업간의 계약이 이번 사태의 여파로 성사되지 않는 사례도 발생하면서 이들 기업도 안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가 수출 금지 등 전면전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보면서도, 수출 규제의 기간과 강도 등은 쉽게 전망하지 못했다.

안영진 SK증권 연구원은 “일본의 규제 조치가 미·중 분쟁 같은 전면전 양상을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만 반도체의 일부 품목에 한정된 수출 규제가 향후 기간과 품목이 확대되고 규제 강도가 심해질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