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게임업계, 워라밸 문화 선도한다 “공짜 야근 OUT”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90806010003154

글자크기

닫기

김나리 기자

승인 : 2019. 08. 07. 06:00

2019062601010020193
넥슨 판교 사옥/사진=김나리기자
#게임업계에서 근무하는 A씨는 게임 출시 직전 데드라인을 맞추기 위해 야근과 특근을 반복하는 크런치모드 기간에 매주 15시간 이상 야근을 했다. 그럼에도 정시간에 ‘칼퇴’하는 달과 통장에 찍히는 급여는 똑같았다. 하지만 포괄임금제가 폐지된 이후부터는 일 한만큼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회사에서 정한 근로시간 이상 근무할 경우 초과 시간만큼 수당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포괄임금제가 폐지된 이후 A씨뿐만 아니라 직장 동료들의 야근 횟수도 대폭 줄었다. 포괄임금제 폐지로 인해 인건비가 증가해 회사 전반적으로 업무가 없을 때는 빨리 퇴근하는 분위기가 조성됐기 때문이다.

게임업계 맏형인 넥슨을 필두로 빅3가 포괄임금제 폐지를 시작하며 주52시간 근무제와 더불어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정착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밤샘근무, 주말근무 등이 관행이었던 게임업계에서 52시간제 선택적 유연근무와 포괄임금제 폐지로 근무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6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넥슨이 1일부터 포괄임금제 폐지를 도입했다.

넥슨은 기존에 운영해온 고정 연장근로수당(OT)을 기본급에 포함하기로 결정하면서 기본금 삭감 없는 포괄임금제 폐지를 적용했다.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시행하고 있기에 월 소정근로시간 (8시간x해당 월 근무일)을 초과해 근로하는 경우 근로기준법에 따라 연장, 야간 및 휴일근로 가산 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넥슨 관계자는 “회사 차원에서 ‘장시간 근로 근절 및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부서 및 개인의 연장근로 비율을 분석해 평균보다 높은 부서나 개인의 경우 불가피한 환경인지 확인해 관리를 지속할 예정”이라며 “이와 함께 사내 캠페인 등을 통해 건강하고 효율적인 근로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KakaoTalk_20190806_160714507
넥슨포럼에서 직원들이 우드 스튜디오(목공예)를 만들고 있는 모습/제공=넥슨
포괄임금제는 연장, 휴일, 야간 근로 등 시간 외 근로에 대한 수당을 급여에 포함시켜 일괄적으로 지급하는 제도다. 이 때문에 기존에 포괄임금제를 적용한 기업에서는 연장 근무를 하더라도 추가수당을 받을 수 없었다. 특히 밤샘근무나 휴일근무 등 고강도 근무가 잦은 게임업계에서는 포괄임금제도가 야근을 하는 직접적 원인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한 게임업계 관계자는 “주말에 출근하는 날이 많아도 기존에는 추가 수당을 받지 못했지만 포괄임금제가 폐지된 이후에는 일 한만큼 수당이 들어와서 만족스럽다”며 “폐지 이후 회사 전반적으로 야근이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넥슨에 이어 넷마블이 3분기 중 포괄임금제 폐지를 도입할 예정이며 엔씨소프트와 스마일게이트는 10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스마일게이트 관계자는 “52시간 기준 연봉을 40시간 기준으로 소급 적용해 총액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40시간을 초과하는 근무시간에 대해 연장근로수당을 별도로 지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넷마블과 엔씨소프트는 아직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은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포괄임금제 폐지에 대해 게임업계 전반적으로 환영하는 분위기지만 일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기본금 삭감 등 세부 사항에 따라 득이될 수도 실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기본금 삭감없이 연장근로수당을 기본금에 삽입하고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하는 방식의 포괄임금제 폐지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기업에서는 기존에 제공해온 연장근로수당 부분을 삭감하는 대신 초과근무 시간에 따라 수당을 따로 지급하는 방안을 도입하고 있다.
김나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