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도 강경일변도에서 한발 물러서는 모습이다.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하자 곧바로 맞대응 조치에 나설 분위기였다. 그러나 8일 정부는 일본을 우리의 백색국가에서 제외하는 조치를 유보하고 외교적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일본정부가 유화적 모습을 보이고 있는 와중에 갈등을 확대재생산할 필요가 없으므로 일단 지켜본다는 것이다.
아시아투데이는 사설을 통해 꾸준히 양국이 인내심을 가지고 감정적 대응을 자제하면서 외교적 노력을 통해 합리적 방안을 찾기를 촉구해왔다. 아직 불안요소는 여전하지만 한일관계가 합리적으로 풀릴 조짐인 것은 여간 다행이 아닐 수 없다. 이제 일본제품 불매운동도 중단하고, 예정됐다가 취소한 취업박람회나 스포츠행사 등 민간교류도 복원해서 ‘합리적 해결’의 분위기를 살려갔으면 한다.
일본도 안보상 우려가 없다면, 당장은 수출승인을 곧바로 해주고, 더 나아가 백색국가 제외를 철회해주기 바란다. 징용판결 문제는 그것대로 외교적 해결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이렇게 한일갈등이 원만하게 봉합돼야 원자재와 부품 확보에 비상이 걸린 한국 기업들뿐 아니라 판로를 잃을 뻔했던 일본 기업들이 살아난다. 더 나아가 한·미·일 동맹관계도 틈이 벌어지지 않을 것이다.
아시아투데이는 지난 사설에서 치킨게임 양상의 한일갈등에 미국의 중재가 절실하다고 썼다. 지난 7일 내퍼 미 국무부 한일 담당 동아태 부차관보는 헤리티지재단 주최 ‘한일무역분쟁’ 세미나에서 한일 양국이 창의적 해법을 위한 공간을 찾기를 바란다면서 양국 정치지도자의 자중을 요구했다. 미국의 이런 관심이 한일문제의 차분한 해결을 촉진시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