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 사정에 밝은 베이징 소식통의 9일 전언에 따르면 역시 위기 원인은 극심한 돈가뭄, 즉 첸황(錢荒·돈맥경화) 때문이 아닌가 보인다. 특히 부동산 관련 기업들의 첸황은 거의 역대급이라고 해도 좋지 않나 싶다. 향후 10년 내 현재의 부동산 관련 기업의 3분의 2가 도산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고위 경제 당국자의 입에서 나오는 것은 다 이유가 있다고 봐야 한다. 7월 말을 기준으로 전국 각지의 법원에서 파산이 선고된 기업이 280여 개에 이른 현실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이 중에는 중국 내 500대 기업 순위 215위의 상장기업인 인이(銀億)그룹도 포함돼 있다.
돈맥경화가 심각하다는 사실은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 부채가 155%에 이르는 현실에서도 잘 알 수 있다. 달러 베이스로는 20조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단연 세계 최대 규모에 해당한다. 상상이 잘 가지 않는 어마어마한 규모라고 볼 수 있다.
당연히 중국 금융 당국은 돈이 없지 않다. 외환보유고가 3조1000억 달러에 이르는 만큼 작심하면 돈을 풀 수는 있다. 하지만 반대의 행보를 보이고 있다. 민영 기업들의 도산을 우려해 돈줄을 더욱 바짝 조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현재 중국 경제는 27년래 최악의 상황에 직면해 있다. 향후 전망은 더욱 좋지 않다. 일부에서는 바오류(保六·6% 성장 사수)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 설상가상으로 미국과의 무역전쟁도 끝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한 치 앞을 모를 첩첩산중에 내몰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 중국 민영 기업들의 운명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하나 같이 도산의 생사기로에 직면했다고 해도 무리는 없어 보인다. 지금 이들의 화두가 ‘훠샤취(活下去·생존하기)’인 것은 다 나름의 이유가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