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관 개관 1년 만에 관람객 1만명 돌파, 40%는 미국인
고종 황실비 2분1, 2만5000달러에 공사관 매입 특명, 원형 유지
|
한종수 주미대한제국공사관 학예사는 14(현지시간) “공사관이 지난해 5월 22일 개관한 이후 지난 1일 관람객 1만명을 돌파했다”며 “미국을 방문하는 한국 여행객과 교민뿐 아니라 약 40%는 현지 미국인”이라고 밝혔다.
실제 공사관이 이날 오후 시작한 ‘주미대한제국공사관 역사자료 특별전’에는 교민과 미국인들 다수가 참석, 구한말 열강의 틈바구니에서 대한제국의 독립과 자주외교를 위해 대미 외교에 힘을 쏟았던 복원 현장과 전시물을 관람했다.
|
이날 시작된 ‘특별전’에는 초기 공사관의 활동상이 담긴 사료 4점과 19세기 말 자료 6점 등 그동안 일반에 공개되지 않은 역사자료 10점이 전시됐다.
개막식에는 박정양 초대 주미전권공사의 손녀로 현지에 거주하는 박혜선 여사 내외와 김계식 문화재청 문화재활용국장·황준석 워싱턴한국문화원장 등이 참석했다.
|
백악관에서 1.5㎞ 거리에 있는 공사관은 1877년 빅토리아양식으로 지은 지하 1층, 지상 3층 건물이다. 이곳은 1889년 1월 19일 주미 공사관을 개설한 지 약 1년 1개월 만에 이주한 두 번째 청사다.
공사관은 1905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이 박탈되자 그 기능이 중단됐고, 1910년 9월 일본이 단돈 5달러에 강제 매입한 뒤 미국인에게 10달러에 매각했다. 이후 정부와 민간의 노력으로 2012년 문화재청이 350만달러에 매입한 뒤 보수·복원 공사를 거쳐 113년만인 지난해 5월 22일 재개관했다.
|
오 관장은 “공사관은 일제에 나라를 잃었던 시기에 사용된 공간이자 일본을 비롯한 열강의 침략에 맞선 구한말 독립과 자주외교의 상징”이라며 “광복절을 맞아 전시회를 갖게 돼 더욱 뜻깊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여사는 “한국 정부의 큰 도움을 받아 공사관을 수리하고 개관식을 해 깊이 감동했고, 개관한 지 벌써 1년이 됐다는 게 감개무량하다”면서 “한국은 굉장히 강한 나라가 됐다. 국민이 힘을 합쳐서 하면 못 할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
이번에 공개된 자료는 초대 주미전권공사 박정양의 문집 ‘죽천고’ 중 일부(18책)인 ‘미속습유’, 초대 주미공사관 서기관 이상재가 쓴 ‘미국공사왕복수록’, 초대 주미공사관 수행원 강진희가 철로를 달리는 기차를 보고 그린 최초의 미국 풍경화인 ‘화차분별도’, 1893년 공관원 장봉환이 주미공사관 서기관으로 부임하면서 발급받은 현존 국내 최고(最古) 여권인 ‘집조(執照)’ 등이다.
미속습유는 박정양 공사가 미국의 지리·역사·정부 조직 및 문물 등을 종합적으로 소개한 최초의 공식보고서다. 이상재 서기관의 자료는 미 정부와 주고받은 문서와 공사관의 운영 및 활동상을 기록한 대미외교 사료다.
아울러 공사관 복원 과정에서 2층 벽난로에서 예기치 않게 발견된 자료, 11점 가운데 6점도 전시됐다.
이는 4대 이채연 서리공사가 버지니아주 댄빌 군사학교를 방문하고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군사학교 엽서, 캐나다 출신 화가인 조지 로버트 브뤼네가 보낸 전시회 초대장, 미국 화가 이디스 하워드가 보내온 성탄·신년 축하 카드, 테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의 딸인 앨리스 루스벨트가 보낸 결혼식 안내장, 성경 구절이 담긴 상본(像本·성인화·종교화 등으로 만든 카드), 1904년 뉴욕 애비뉴 장로교회 성경학교 초대장 등이다.
이채연 서리공사는 부국강병을 위해 미 군사 제도를 깊이 연구하면서 미국 군사교관 초빙을 비롯해 미국의 조선에 대한 군사적 지원을 도모했으며 이를 위해 댄빌 군사학교를 직접 시찰했다. 또 당시 공사관은 미 국무부로부터 자금 지원을 위해 차관(借款) 도입을 추진했고, 그의 부인은 종교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문화계와도 활발히 교류했고 공사관은 설명했다.
당시 공사관원들은 인근의 커버넌트교회와 뉴욕장로교회에 다녔는데 신자로서 이 교회에 다녔던 미 대통령보다도 더 주목을 받았다고 공사관은 설명했다.
공사관 자료에 따르면 1889년 4월 23일자 ‘이브닝 불리틴’은 ‘교회에 그들(한국인)이 있어 대통령은 중심이 아니었다’는 기사를 실었다. 이 신문은 기사에서 ‘조선공사관원들은 예배 시간 내내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했으나 놀라울 정도로 집중했으며 자신들이 (미국 대통령도 포함된) 회중의 최대 주목 대상이라는 점을 인식하지 못하는 듯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