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이 22일부터 25일까지 미국 뉴욕에서 소화한 일정 상당수는 한반도 비핵화 진전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에따라 문 대통령의 뉴욕 행보를 지켜본 북한이 곧 재개될 북·미 비핵화 실무협상에서 어떤 입장을 취할지 더욱 이목이 집중된다.
문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아홉번째 한·미정상회담에서 북한에 대한 무력 불가침, 70년 적대관계 종식을 재확인하며 북한에 1차 메시지를 발신했다.
또 문 대통령은 다음날인 24일 유엔총회 연설에서 비무장지대(DMZ)를 국제 평화지대로 만들자는 제안을 하며 두번째 대북 메시지를 내놨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의 허리이자 냉전의 유산인 DMZ를 국제평화지대로 만들어 국제사회를 개입시킨다면, 북한은 ‘비핵화 후 체재안전 보장’을 얻을 수 있다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 외에도 문 대통령은 덴마크·폴란드·호주 정상과의 양자 회담에서 한반도 평화에 대한 지지를 빠짐없이 약속받았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이번 뉴욕행으로 한반도 비핵화 협상 프로세스가 다시 본궤도에 진입했다고 평가하는 기류다.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 진전을 이루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가 강하다는 것을 확인했고, DMZ의 국제 평화지대 조성 제안 역시 국제사회의 호응을 얻었다는 평가를 자체적으로 내린 것으로 감지된다.
전문가들 역시 북·미 비핵화 실무협상이 잘 진행된다면 이와 맞물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11월 부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참가, DMZ 국제 평화지대 조성 등 한반도 평화 기류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이번에 미국과 북한의 실무협상이 타결되면 부분적 제재완화가 포함될 것이라고 생각된다”며 “거기에 관련해서 우리도 연계사업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북한에 경제적 이득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잘 설명하면 북한도 이를 받을 가능성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신 센터장은 “북한이 당장 호응할것이라고 보진 않는다”며 “하지만 미국과 북한의 핵협상이 어느 정도 타결되면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사안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김형석 전 통일부 차관은 “북한은 과거 DMZ 개방을 위협으로 여겨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며 “하지만 최근에는 이를 세계자연유산에 등재하는 등으로 하면 경제적 지원 받을 수 있고,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는 등의 이유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적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전 차관은 “북한에 대한 체재안전 보장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DMZ를 평화지대로 만드는 방향으로 분위기를 만들어 가면 북도 따라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전문가들은 한·미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비핵화의 ‘새 방법론’이나 북한이 요구하는 제재완화·체제보장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나오지 않은 점은 아쉽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