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대화 모멘텀 지속 방안 논의"
이도훈, 워싱턴서 일본 북핵 수석대표와 이례적 단독협상
|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8일(현지시간) 워싱턴 D.C. 국무부 청사 앞에서 취재진과 만나 “오늘 한·미, 한·일, 그리고 한·미·일 (협의를) 다 했다”고 말했다.
국무부도 이날 보도자료에서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 특별대표가 이날 이 본부장, 다키자키 시게키(瀧崎成樹)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한·미·일 삼자 협의와 함께 한·미, 미·일 간 양자 협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한·미·일의 북핵 협상 수석대표들의 회동은 지난달 24일 뉴욕에서 유엔총회 개최를 계기로 만난 후 2주만이고, 지난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북·미 실무협상 결렬 이후 3일 만이다.
이 본부장은 “어떻게 하면 지금부터 (북·미) 대화의 모멘텀을 계속 살려 나가느냐에 대해서 주로 얘기했다”며 미국 측의 제안대로 2주 안에 북·미가 만날 가능성 등에 대한 질문에는 “계속 보죠”라고 했다.
미 국무부는 스톡홀름 북·미 실무협상이 합의 없이 끝난 후 2주 내 협상 재개에 대한 스웨덴의 초청을 수락했다고 밝혔으나 북한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 본부장은 한·미공조 방안과 관련, “한·미공조는 잘 되고 있고 앞으로도 그렇게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본부장의 이날 비건 특별대표와 다키자키 시게키(瀧崎成樹)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만났다. 이 본부장이 워싱턴 D.C.에서 한·미·일 3자회담이 아닌 일본 북핵 수석대표를 단독으로 만난 것은 이례적이다.
이 본부장은 전날 방미했으며, 다키자키 국장도 미국 방문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외교부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이 본부장이 비건 특별대표와 북·미 실무협상 등 최근 북한 관련 동향 및 향후 대응방향에 대해 논의했으며 한·미·일 및 한·일 북핵 수석대표 협의를 갖고 북핵 문제의 실질적 진전을 위한 3국간 협력 방안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본부장은 데이비드 스틸웰 국무부 동아태차관보와도 만나 북핵·북한 문제 및 한·미 간 관심사안에 관해 논의했다고 외교부는 덧붙였다.
비건 특별대표는 이번 협의에서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고 한반도에 항구적 평화를 가져오기 위한 한·미, 미·일 간, 그리고 한·미·일 3국 간 지속적인 긴밀한 대북 조율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고 국무부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