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구 없는 '조국 정국', '광장 정치' 우려도
|
9일 광화문 광장에서는 한국기독교총연합회가 주도하는 문재인하야범국민투쟁본부 등의 보수집회와 함께 ‘조국 사퇴’ , ‘정부 규탄’을 외치는 시민 집회가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됐다.
특히 정치권은 태극기와 성조기를 함께 든 보수층의 집결 외에도 두 번의 집회를 통해 나타난 중도층의 움직임에도 주목하고 있다. 지난 3일 주최측 예상보다 많은 시민이 광화문에 모인 데에는 중도층 참여가 컸다는 분석이다. 실제 집회에 참가한 시민들 중에는 “나는 진보도 보수도 아니지만”이라는 전제를 달고 조 장관 임명의 부당성과 문재인정부의 정책 실패에 대해 규탄하는 이들이 적지 않았다.
또 ‘조국 사태’에 분노하는 20~30대 젊은 층도 정부 규탄에 나서며 광화문 집회가 단순히 ‘보수’만의 집회로는 끝나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지난 3일 집회에 참가하지 않았던 ‘서울대 광화문 집회 추진위원회’는 이날 광화문 한쪽에 자리를 잡고 ‘조국 반대’에 동참했다. 광화문 집회가 범보수 세력 총집결로 확대될지 정치권이 주목하고 있다.
|
다만 광화문·서초동 집회가 지속되면서 ‘광장 정치’가 오히려 여야 정치권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두 달째 이어지고 있는 ‘조국 정국’의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여야 모두에게 집회를 통한 세력 대결은 정치적 부담이 될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
일단 한국당은 오는 12일 계획했던 대규모 장외 행사를 전격 취소했다. 청와대는 개천절인 지난 3일에 이어 9일 광화문에서 열린 ‘조국 사퇴’ 집회에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이날 오후 열린 내부 회의에서도 조 장관 거취나 광화문 집회와 관련한 특별한 언급은 없었다고 한다. 청와대가 진보·보수 진영 대결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를 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