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019 국감] 경찰발전위 59.2% ‘지역 유력인사’…정인화 의원 “유착 창구로 변질될 가능성 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91014010007610

글자크기

닫기

우종운 기자

승인 : 2019. 10. 14. 20:20

clip20191014201659
정인화 국민의당 의원/제공=정인화 의원실
‘버닝썬 사건’으로 지역주민과 경찰 간 유착고리 논란을 빚은 서울지역 경찰서 내 경찰발전협의회의 59.2%가 지역 자영업자, 기업 임직원, 의료인 등 지역 유력인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정인화 국민의당 의원이 서울시 내 경찰서 31곳 가운데 위원 구성이 비공개된 3곳(구로·송파·성동경찰서)을 제외한 28곳의 경찰발전협의회 의원 구성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직군별로는 서울 내 경찰서 28곳에서 위촉된 총 693명의 위원 중 59.2%에 달하는 410명이 치안정책과 크게 상관없는 직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자영업자가 142명(20.5%)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업 임직원 135명(19.5%), 의료인 133명(19.2%)순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학교·학원가 치안정책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교육종사자 위원은 40명(5.8%)에 불과했다. 법률자문과 관련된 변호사 위원은 23명(3.3%)이다.

경찰서별로는 중랑경찰서가 19명의 위원 가운데 16명(84.2%)으로 개인 자영업자·기업 임직원·의료인 비중이 서울 시내에서 가장 높았다 뒤이어 도봉경찰서가 22명의 위원 중 18명(81.8%), 영등포경찰서가 19명 위원 중 15명(78.9%), 양천경찰서가 27명 중 19명(70.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정인화 의원은 “경찰발전위원회 인적현황을 살펴보면 지역 유력인사만 참가하고 있어 자연스럽게 유착 창구로 변질될 가능성이 크다”며 “지역주민들과 함께 합리적인 치안정책을 만들겠다는 경찰발전위원회 본연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그 구성을 다양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종운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