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고창 출신 이찬규 교수, ‘대한민국 이끌 대학가 차세대 리더’ 7인에 선정돼…‘인공지능시대 인문학 거두로 주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91027002127553

글자크기

닫기

안정환 기자

승인 : 2019. 10. 27. 21:42

한국대학신문, 대한민국 이끌 대학가 차세대 리더로 이찬규 교수 등 선정

이찬규 중앙대 교수가 ‘대한민국을 이끌 대학가 차세대 리더’ 7인에 선정됐다. 이 교수는 대한민국 인문학 거두로 성장해 4차 산업혁명을 이끌 리더로 주목받고 있다. 그는 국내 ‘인공지능 인문학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꼽힌다.

이찬규 중앙대 교수가 '대한민국을 이끌 대학가 차세대 리더' 7인에 선정됐다. 전북 고창에서 소설가를 꿈꾸던 시골소년이 대한민국 인문학 거두로 성장해 4차 산업혁명을 이끌 리더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23일 고창군(군수 유기상)에 따르면 최근 한국대학신문에서 ‘대한민국을 이끌 대학가 차세대 리더’로 이찬규 교수(중앙대 국어국문학과·인문콘텐츠연구소장) 등 7명을 선정했다.


고창 출신인 이 교수는 국내 ‘인공지능 인문학(AIH; Art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꼽힌다.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기술이 역으로 인간을 지배하는 세상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바람직한 전망을 제시하는 게 바로 ‘인공지능 인문학’이다.


이 교수는 “어떻게 인간의 가치를 지키고 인공지능과 공존할 것인지 종합적인 대안을 제시하겠다는 것이 ‘인공지능 인문학’의 핵심”이라고 전했다.


전북 고창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이 교수는 친구들과 놀다가 책 읽고, 시 쓰고, 소설 쓰다가, 가끔 공부하던 기억이 또렷하다.


그는 “시골이다 보니 공부 잘하는 아이한테 기회가 많이 주어졌다. 여러 대회에 참가하다가 글 쓰는 것이 굉장히 잘 맞는다고 느꼈다. 중학교 때 소설가의 꿈을 품었다”고 회상했다.


작가배출로 유명한 중앙대 국어국문학과에 진학했고, 글 쓰는 문학보단 언어학에 더 관심이 쏠려 만 31살에 교수가 됐다. 이후 이 교수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의 역할과 과제’ 등의 특강을 진행하며 인문학적 성찰을 통해 조화롭고 건강한 삶을 추구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특히 이 교수는 고창군이 진행하는 ‘365 인문고창’에 대해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 교수는 “인문학은 치열한 경쟁으로 인한 구성원들의 불안과 분노를 해소하고, 환대와 배려의 문화가 만개하는 고창군의 주춧돌이 될 수 있다”며 “문화적 지표가 중요한 시대인 만큼 인문학을 통해 군민들이 행복한 도시로 만들어 나가는 고창군을 힘차게 응원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나에게 큰 행운은 전북 고창에서 태어난 것이라고 생각하며 지금까지 살아오고 있다”며 “고창을 문(文)과 예(藝)의 본향(本鄕)으로 살려나가는 유기상 군수에게 감사의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판소리의 성지 고창이 비록 작은 농촌이지만 ‘동양의 셰익스피어’ 신재효와 동학농민혁명 지도자 전봉준 장군으로 대표되는 고창 사람들의 삶과 생활 속에 인문학이 함께 하도록 기여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찬규 교수는 중앙대 입학처장, 교무처장, 교학부총장을 지냈다. 현재 중앙대 산하 인문콘텐츠연구소 ‘HK+ 사업’ 연구책임자이다.


한편, 한국대학신문은 '대한민국 이끌 대학가 차세대 리더'로 인문학의 이찬규 교수 외 △유성준 세종대컴퓨터 공학과 교수(인공지능) △손열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국제학) △이국종 아주대 의대 교수(의학)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기초과학) △김현재 연세대 전기공학부 교수(반도체) △이지선 숙명여대 시각·영상디자인과 교수(예술) 등을 선정했다.


이찬규 교수는 중앙대 산하 인문콘텐츠연구소 ‘HK+ 사업’ 연구책임자이다.
안정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