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손애리 삼육대 교수, 회식보다 가족모임에서 ‘술 더 마신다…3000명 분석

손애리 삼육대 교수, 회식보다 가족모임에서 ‘술 더 마신다…3000명 분석

기사승인 2019. 10. 30. 17:3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사진] 삼육대 보건관리학과 손애리 교수
손애리 삼육대 보건관리학과 교수가 30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19 젠더혁신연구센터-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공동포럼’에서 “회식보다 가족·친척과의 모임이 음주자의 ‘음주빈도’와 ‘음주량’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사진=손애리 삼육대 교수 /제공=삼육대
손애리 삼육대 보건관리학과 교수가 30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19 젠더혁신연구센터-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공동포럼’에서 “회식보다 가족·친척과의 모임이 음주자의 ‘음주빈도’와 ‘음주량’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연구 결과에 따르면 회식 자리보다 친구 모임에서 폭음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손 교수는 ‘김영란법’과 ‘52시간 근무제’ 등으로 인해 직장 회식문화가 간소화됐으나 친구나 가족들과 함께하는 술자리가 늘어나면서 소비패턴이 달라진 것으로 보고 사회 변화에 따른 새로운 음주예방 정책과 교육홍보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손 교수는 지난해 4월20일부터 27일까지 ‘한 달에 한 번이라도 음주를 한’ 만 19~60세 성인 3000명(남성 51.1%, 여성 48.9%)을 대상으로 술에 대한 태도, 소비, 음주 행태 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남성들 중 47.3%는 주된 폭음 상황(한 술자리에서 남자 7잔, 여자 5잔 이상)으로 ‘소수의 친구들과 친목 도모’라고 답했다. 이어 ‘다수의 동료들과 회식’(26.0%), ‘소수의 동료들과 업무 뒤풀이’(20.6%)를 꼽았다.

여성 역시 ‘소수의 친구들과 친목 도모’가 52.9%로 가장 많았다. ‘다수의 동료들과 회식’은 19.4%로 뒤를 이었다.

고위험 음주군(주 2회 이상 한 번에 남성 7잔, 여성 5잔 이상)에서도 친목모임이 50.1%로 가장 높았다. 회식(22.8%), 뒤풀이(17.9%) 순이었다.

‘업무와 관련된 술자리가 많아서 술을 많이 먹게 된다’는 항목에서도 남성은 ‘아니다’(32.4%)는 응답이 ‘그렇다’(31.7%)는 응답보다 높았다.

여성의 경우 ‘그렇다’고 답한 인원이 14.9%에 불과한 데 비해 ‘아니다’고 답한 비율이 56.3%에 달했다.

특히 손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알코올 ‘섭취량’과 ‘음주 횟수’를 종속변수로 둔 회귀분석을 통해 이에 영향을 미치는 15개 변수를 분석했다.

그 결과 알코올 섭취량과 음주 횟수 모두 친구들의 음주량과 가족의 음주 여부가 공통으로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또 가정 내 음주를 허용하는 분위기를 살펴보면 적정 음주는 60%, 과음에 대한 허용은 11%로 집계됐다. 가족 모임 때 가끔 술을 마신다는 비율은 45%, 술을 자주 마신다는 비율도 33.4%로 나타나 10명 중 8명이 가족 모임에서 음주를 한다고 답했다.

손애리 삼육대 교수는 “회식 술자리가 줄어든 것은 다행스러운 현상이지만 가정에서의 술 문화가 새로운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면서 “최근 TV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술을 권하거나 마시는 모습이 자주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술에 대한 관대한 인식을 갖게 하고, 술로 인한 폐해로 연결되기 쉽다”고 지적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