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전동킥보드, 공유 오피스 등으로 이용자 접점 확대…이용자 보호는 ‘제자리걸음’

전동킥보드, 공유 오피스 등으로 이용자 접점 확대…이용자 보호는 ‘제자리걸음’

기사승인 2019. 11. 13. 03: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공유 전동킥보드 업체 현황
공유 전동킥보드 서비스의 이용자 접점이 공유 오피스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공유 전동킥보드 업체들이 공유 오피스 등과의 제휴로 서비스 저변을 넓혀 이용자 확대에 나서는 한편, 이용자 증가만큼 헬멧 착용 등 이용자 보호 관련 가이드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킥고잉’을 운영하는 올룰로는 산업부 규제샌드박스, 부천시 스마트시티챌린지 사업에 이어 공유 오피스로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11월 기준 회원수 38만명, 운영대수 6000대(서울 강남·서초·송파·마포·성동·광진구 등)를 돌파한 올룰로 ‘킥고잉’은 공유 오피스 패스트파이브·스파크플러스에 진출했다. 공유 오피스 입주 고객에 한정해 킥고잉 비즈니스 요금제를 도입하고, 전용 주차장인 ‘킥스팟’도 설치했다. 요금제의 경우 유동적이나 약 5% 할인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올룰로 관계자는 “킥고잉을 새로운 이동수단으로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 그리고 질서 있는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이용 문화를 기업들과 함께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올룰로는 부천시 스마트시티챌린지 사업에 참여해 라스트마일 이동 돕는 모델로 원도심 주차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해 킥고잉 100여대를 운영 중으로 이달 중 200대 이상으로 늘린다. 또 마을 주민 채용을 통해 고용 창출하고, 이로써 지역 운영 인력이 확충되면 200대 정도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전동킥보드 전용 주차장 역시 약 40개를 설치 완료했다. 킥스팟은 이달 중 45개까지 설치할 예정이다.

관계자는 “올룰로는 스테이션(주차거치대) 기반 모델을 최초로 도입했다. 부천시 사업은 교통문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차 문제를 해결하는데 앞장서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내년 초까지 부천시 시범사업으로 일부 지역에서 진행하고, 본 사업으로 확장되면 규모나 지역을 더 넓힐 것”이라고 밝혔다.

올룰로와 마찬가지로 산업부 규제샌드박스 실증사업을 진행 중인 매스아시아의 ‘고고씽’은 지난 7월 스파크플러스와 테스트 제휴를 진행하고, 9월 정식 협약을 맺었다. 회원 가입 시 스파크플러스 전체 입주사 직원 1인당 3000 포인트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매스아시아 관계자는 “스파크플러스에 입주한 스타트업 직원들의 편의와 교통수단으로서의 공유 퍼스널모빌리티 직접적인 혜택을 주고자 했다”며 “고고씽이 운영하는 히어로즈(긱 일자리)에 우선적 혜택을 부여한다”고 전했다. 고고씽 히어로즈는 강남에 거주하거나 일하는 일반인으로 7, 8, 10월 고고씽 킥보드를 재배치, 배터리교체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매스아시아는 공유 오피스 확대와 함께 캠퍼스 제휴에도 힘쓴다. 지난 8월 인수합병한 전동킥보드 서비스 ‘알파카’를 통해 캠퍼스 진출 전략을 펼친다는 설명이다. 서울·경기·대전·제주 등 대학생 수요층 확대를 모색해 2020년 캠퍼스 제휴를 점차 늘린다.

이 밖에 피유엠피(PUMP)의 ‘씽씽’도 공유 오피스와의 제휴를 추진 중이다. 씽씽은 지난 5월 출범 이후 5개월 만에 누적 회원 10만명을 돌파, 서울 강남·서초·송파·성수·광진구 등에서 약 5200여대를 운영 중이다. 씽씽은 대규모 캠퍼스의 학교, 대중교통이 충분하지 못한 산업공단, 역세권 외각의 기업 복지용으로 확대 제휴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용자 접점이 확대되고 있지만, 이용자에 대한 보호 규정은 찾아볼 수 없다. 실제로 전동킥보드는 현행 도로교통법에 따라 ‘원동기장치자전거’로 분류돼 차도 주행만 가능하다. 현재 산업부 규제샌드박스 실증사업을 통해 일부 지역에서 자전거 도로 주행을 허용하지만, 한시적이다. 또, 헬멧 등 보호장비 착용이 필수지만, 이를 지키는 이용자는 거의 볼 수 없다. 더군다나 전동킥보드 전용 주차장도 없어 길거리에 방치되는 경우가 대다수다. 헬멧과 전용 주차장 마련에 공유 전동킥보드 업체들이 자발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관련 가이드라인이 없어 고민만 깊어지고 있다.

업게 관계자는 “공유 전동킥보드를 비롯해 전동킥보드의 이용자들이 많아지면서 퍼스널모빌리티, 마이크로모빌리티 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이용자는 확대되는 한편, 이용자 보호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다. 배터리 화재 사고 등 안전에 관한 사고가 증가하는 만큼, 이용자 보호를 위한 조속한 법제화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