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기정통부는 21일 KT, S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등 통신4사와 함께 통신재난 방지대책 추진현황 점검회의를 개최해 통신망·전력공급망 이원화, 재난대응 인력(감시시스템) 운용, 중요통신시설 잠금장치 및 CCTV 설치 등 후속조치 추진현황을 보고했다.
단일 통신망에서 장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통신망·전력공급망 이원화는 KT와 SK텔레콤의 경우 2021년 상반기까지 끝내기로 했다. LG유플러스와 SK브로드밴드는 전력공급망 이원화는 내년까지, 통신망 이원화는 2021년 말까지 완료하겠다고 보고했다.
앞서 KT 아현국사를 방문한 최기영 장관은 “지난해 발생한 통신구 화재는 통신망이 국민생활에 얼마나 밀접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통신재난 대비가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는 계기가 됐다”며 “초연결사회에서의 통신망 장애는 지난해 사고보다 더 큰 경제적·사회적 혼란을 야기하므로 어떠한 환경에서도 통신망이 끊김없이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태희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도 “통신망 이원화와 전력공급망 이원화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단시간에 완료할 수는 없지만 최대한 조속히 완료하고 통신재난 대응인력 확충과 교육강화를 통해 자연재난에도 대비해 달라고 당부”하며 “과기정통부도 최근 신설한 네트워크 안전 전담 조직을 중심으로 통신재난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