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의 10일 보도에 따르면 홍콩침례대학(HKBU·香港浸會大學)은 최근 17세에서 23세 사이 1851명의 홍콩 청년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 이들의 거주 상황이 행복 수준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밝혔다. 홍콩 정부는 시위대 불만의 근본적인 원인 중 하나로 주택 부족 문제를 꼽은 후 수요 충족을 위해 임대 아파트 수와 보조금 아파트 수를 늘리는 데 고군분투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이 같은 주택 정책이 잘 되고 있는지를 평가한 것이다. 현재 홍콩에서 6개월간 이어지고 있는 민주화·반(反)정부 시위의 대부분은 사회의 젊은 층으로 구성돼 있다.
홍콩의 주거용 부동산가격은 2009년 금융위기 이후 10배 이상 급등해 미국 뉴욕보다 27%, 싱가포르보다는 90%나 더 비싼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말 기준 홍콩 집값은 평균 임금의 20.9배에 달해 세계 최고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정부가 무주택 서민을 위해 직접 공급한 공공주택에 머무는 청년의 행복지수를 파악했고 100점 만점에 50점으로 집계됐다. 이는 민간 아파트·보조금 아파트 등 비공공 주택 거주자의 행복 지수(57점)보다 낮다. 연구를 주도한 아드리안 베일레이 HKBU 사회과학 교수는 “우리는 주택환경이 개개인의 주관적 ‘웰빙(well-being)’에 차이를 주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며 “홍콩정부가 단 하나의 청년 부동산 정책을 제시하는 것은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다. 청년들이 처한 상황 유형을 더 면밀히 들여다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HKBU 연구팀은 공공주택에 거주하는 청년층은 자신의 ‘삶의 통제 정도’·‘가족 재정 상황’·‘미래에 대한 자신감’ 등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행복 지수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또 이들이 비공공 주택거주자에 비해 이웃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삶에 대한 통제력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덧붙였다. 베일레이 교수는 “공공 주택에 사는 사람들은 유리한 사회적 자본 자원이 없어 더 많은 불확실성과 사회적 불안정을 느낀다”고 진단했다.
나오미 호 쓰와이 청년정책옹호단체 위원은 “홍콩 정부는 주택과 같은 큰 사회적 문제에서부터 학자금 대출 반환과 같은 작은 문제까지 청년층이 받고 있는 압박을 완화하지 못하고 있다. 홍콩 대학 졸업자들은 첫 직장에서 적은 연봉을 받게 돼 학자금 대출조차 갚지 못하고 있다”며 홍콩 정부의 청년 정책이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정치적으로도 청년층이 (홍콩시위에서) 5가지 요구사항을 주장하고 있지만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고 있지 않다”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