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신년기자회견에서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와 답방에 대해 여전히 신뢰를 갖고 있느냐’는 질문과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 메시지 전달 과정과 북한이 밝힌 친서에 대해 “그 과정 때문에 논란이 있었는데,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방미했을 때 트럼프 대통령이 집무실로 불러 김 위원장에게 생일축하 메시지를 전달해달라고 해서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어서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만으론 부족하다고 생각했는지 별도로 또 친서를 똑같은 내용으로 북측에 보냈다”며 “그 사실이 아주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도 친서를 수령했고 또 그에 대한 반응을 즉각 내놨다. 두 정상간 친분관계도 다시 한번 더 강조 했다”며 “북한의 요구가 수긍돼야만 대화할 수 있다는 전제를 달기는 했지만 여전히 대화의 문을 닫지 않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간 그리고 북·미간 대화 모두 현재 낙관할 수도 없지만 비관할 단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북·미간 대화가 활발한 상태는 아니지만 두 정상의 신뢰는 계속되고 있다. 대화를 이뤄가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 간도 마찬가지다. 외교는 눈에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부분이 더 많다”며 “남북관계도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대화를 통해 협력 늘려나가려는 노력들은 지금도 지속되고 있고 충분히 잘 될 수 있을 거라고 낙관적인 전망을 가지면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