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대한이비인후과의사회에 따르면 의사회는 지난 19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의사회 창립 20주년 기념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에서 “기존 전문의에게 새로운 자격을 요구하며 이를 3년마다 평가하는 등 불합리한 요소가 적지 않다”면서 “이는 일부 사람들이 가진 기득권을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박국진 신임 회장은 “현 제도는 새로 자격을 부여받고자 하는 전문의의 경우 급여화 시작 후 최소 2년 6개월 이상 경과해야 첫 자격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며 “인증의나 세부 전문의 과정이 아님에도 정도관리위원회가 권한을 벗어난 평가를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
박 회장은 “제한된 교육등록 인원으로 해당과의 전문의들이 모두 자격을 취득하려면 20년 이상의 기한이 소요된다”며 “일련의 과정들이 생략된 채 정도관리위원회가 일방적이고 독단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조양선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사장은 “위원회에는 이비인후과, 신경과, 정신과, 소아과, 호흡기내과 등 5개과 위원이 상의하고 있지만 교육평가와 갱신 관련해 의견이 많이 나눠지고 있다”며 “교육기관은 어떤 시설을 갖춰야 하는지 정의가 없고, 정신과와 신경과에서 펠로우를 하면 6개월 면제하는 것은 법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번 학술대회에는 심사체계 개편에 대비한 보험특강, 어지러움증과 코막힘 해결에 관한 전체특강, 20주년 기념 필수평점강, 임상강의 및 심포지엄 등이 진행됐다.
새로 출범한 집행부는 △의사회 20주년 기념사업 △ENT 방송국 개설 △회장 직통전화 개설 △실사(현지조사) 대비반 구축 △지방회원과의 소통 강화 및 배려 △기존사업 △각종 인증 문제 등을 추진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