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日처럼 2차 확산 없어야…긴장 늦추지 말 것
|
지난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숭인동 거주민 A씨(68·여)는 16일 확진자로 밝혀진 남편 B씨(82)에 이어 확진 판정을 받았다. 각각 코로나19의 30, 29번째 확진자가 된 이들 부부가 지금까지 확진 판정을 이들과 달리 해외여행 경험, 확진자와 접촉 경력이 없는 것으로 전해지면서 ‘지역사회 안전망이 뚫린 게 아니냐’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날 B씨는 동네 병원 2곳을 거쳐 고대안암병원 응급실로 향했다. B씨는 이 곳에서 4시간 가량 머무르던 중 바이러스 의심자로 분류돼 검사를 받았다. 해당 의료진과 응급실 환자 40여명은 자가격리자로 분류됐다.
또한 B씨가 사흘에 한 번씩 종로 일대 독거노인들에게 도시락 배달 봉사활동을 했고, 동네 경로당과 기원 등을 자주 찾았던 인물로 알려지면서 상대적으로 면역력이 약한 노인들에게 바이러스가 확산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이상엽 고려대 호흡기내과 교수는 “중국을 통한 외국인 유입을 차단하지 않은 점, (코로나19의) 증상이 독감이나 감기와 큰 차이가 없는 점 등이 지역 사회 감염을 더욱 확산시켰을 수 있다”며 “지역사회 확산은 동시다발적인 2차 확산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중국인 유학생 대거 입국이 예상돼 지역사회 확산 우려 목소리는 보다 커질 전망이다.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 전날 기준 7만1067명의 중국 유학생 중 지난해 12월부터 이달 14일까지 중국에서 입국한 이들은 1만9022명으로 아직 5만여명이 입국을 앞두고 있다. 국내 전체 유학생은 16만165명으로 이 중국 국적 유학생은 44.4%를 차지한다.
이 교수는 “중국 유학생 등 국내로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지 않는다면 경로를 알 수 없는 감염자가 더 많아질 수 있다”며 “지역사회 내 확산 우려는 잠복기(최대 2주)가 지나더라도 긴장을 놓아서는 안 된다”고 전했다.
이날 정부는 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을 막기 위해 △원인불명 폐렴환자 전수조사 △해외여행력 없는 의심증상자 적극적 진단검사 시행 등을 예고한 데 이어 요양병원 종사자·간병인의 중국·홍콩·마카오 여행력 전수조사 카드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