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제도는 람사르습지로 인정받은 습지 부근에 위치해 습지 보전과 현명한 이용에 모범적으로 참여한 도시나 마을을 국제적으로 인증하는 제도다.
2011년에 우리나라와 튀니지가 공동으로 제안·발의해 2015년 제12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됐다.
이후 2018년에 열린 제13차 총회에서 우리나라 4개 도시(순천·창녕·인제·제주) 등 7개국 18개 도시가 최초로 인증을 받은 바 있다.
이번에 제2차 람사르습지도시 국제 인증을 신청한 3곳은 국제협약(람사르협약)과 국내법(습지보전법)에 따른 람사르습지 및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곳으로, 올해 2월 국가습지심의위원회를 통해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다.
전북 고창군에 위치한 고창갯벌은 수려한 경관을 지닌 지형·지질학적 가치가 높은 연안습지고, 운곡습지는 오베이골의 저층습지와 운곡저수지의 호소형습원이 결합된 내륙습지다. 고창군은 연안·내륙습지에 대한 복원사업을 실시하고 생태관광을 운영하는 등 습지 보전과 이용을 조화롭게 실천하고 있다.
충남 서천군 서천갯벌은 도요물떼새들의 중간 기착지이며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한다. 서천군은 이곳에서 철새 보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갯벌 정화활동을 펼치는 등 활발한 지역주민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제주 서귀포시 물영아리오름은 기생화산구에 발달한 습지로, 마을규약을 통해 주민주도형 습지 보전활동과 생태교육·관광이 활성화된 지역이다.
이들 3곳의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여부는 람사르협약 사무국의 검토를 거쳐 내년 상반기 예정된 제59차 상임위원회에서 결정된다. 최종적으로 인증이 확정되면 내년에 열릴 제14차 람사르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인증서를 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