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 맞춤형 전·월세 대출의 공급규모가 기존의 1조 1000억원에서 4조 1000억원으로 확대된다. 청년 맞춤형 전·월세 대출은 작년 5월 금융위원회-주택금융공사-은행권 협약을 통해 출시된 후 청년층으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만 34세 이하 청년에게 2%대 금리로 7000만원 이하 보증금, 월 50만원 이하 월세를 지원해주는 상품이다.
금융위원회는 26일 국무총리 주재 ‘현안조정회의’에서 청년 맞춤형 전·월세 대출 공급 확대와 관련한 내용이 ‘청년의 삶 개선방안’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작년 5월 27일 출시된 청년 맞춤형 전·월세 대출은 지난 20일까지 10개월 간 2만 5000명 청년들에게 1조 2000억원을 지원했다. 이용자의 평균대출금액은 전세대출 5009만원, 월세대출 591만원(월 24만 6000원)이었다. 금리는 시중 전세대출 평균 금리(2.9%, 주금공 보증)보다 0.33%포인트 저렴한 평균 2.57%였다. 청년 맞춤형 전·월세 대출 이용자들은 전세대출의 경우 평균 월 10만원 내외, 월세대출은 월 1만원의 이자만을 납부하며 해당 대출을 이용할 수 있어, 주거비 경감효과가 컸다.
이번에 청년 맞춤형 전·월세 대출의 공급규모가 1조 1000억원에서 4조 1000억원까지 늘어나면서, 약 6만여명의 청년이 추가로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금융위는 올해 2월부터 도입된 온라인 신청방식을 보다 확대해 청년들의 접근성을 개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는 카카오뱅크를 통해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며, 차후 다른 은행들을 통해서도 비대면 신청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