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한투·메리츠 등 증권사 단기차입 한도 확대…왜?

한투·메리츠 등 증권사 단기차입 한도 확대…왜?

기사승인 2020. 04. 08.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한투·메리츠·하나·신한금투 한도 ↑
"ELS證 유동성 우려에 실탄 확보
PF 유동화증권 차환발행 난조"
basic_2020
한국투자증권, 메리츠증권, 하나금융투자, 신한금융투자가 최근 잇달아 단기차입금 한도를 증액했다. 주가연계지수(ELS)발 유동성 문제가 불거진데 대한 선제 대응라는 해석이 나온다. 또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유동화증권 차환발행에 일부 증권사가 어려움을 겪는 등 단기자금 부족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 대비한 조치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날 한국금융지주는 한국투자증권이 단기차입금 한도를 5000억원 증액한다고 공시했다. 회사는 단기 대규모 자금 조달 시 효과적 대응을 위해 선제적으로 한도를 증액한다고 밝혔다. 단기차입금 한도는 8조3850억원으로 늘었다. 메리츠증권은 지난 1일 단기차입금 한도를 2조원 늘려 9조4700억원으로 증가했다. 지난달 30일에는 하나금융투자가 유동성 추가보강 목적으로 한도를 6조9698억원으로 확대했다. 신한금융투자 역시 지난달 26일 단기차입 한도를 2조원 증액해 한도가 8조1950억원으로 늘어났다.

이는 단기 유동 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선제 조치로 풀이된다. 코로나19 여파로 ELS의 기초자산인 해외 주요 지수가 급락하자 자체 헤지 운용하는 증권사들에 추가 증거금 요구가 들어온 바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ELS 마진콜 사태도 있고 시장 변동성이 크게 늘었기 때문에 미리 조치를 취한 것을 보인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증권사의 PF 자산유동화 기업어음(PF-ABCP) 차환 문제에 대한 대응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증권사들이 부동산 시행사 대출채권에 신용보증을 하고 이에 대한 이자 수익을 받아왔으나 부동산 경기가 악화되면서 증권사가 전부 떠안는 상황이 나오고 있다. PF 유동화증권을 포함한 채무보증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메리츠증권이 8조원대로 가장 많고 신한금융투자, 하나금융투자, KB증권이 뒤를 잇는다.

강승건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ELS·DLS 운용규모 확대에 따른 마진콜로 파생된 유동성 우려에 이어 증권사가 유동화 시킨 부동산PF 대출채권의 차환발행 실패에 따른 유동성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증권사들이 단기차입 한도를 확대하며 대응하고 있지만 쏠림현상(차환발행 실패가 빠르게 확산)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