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약처는 연구용역을 통해 결정한 LED 마스크 안전기준을 국표원에 넘겼다며 국표원이 최종 안전기준을 정하게 될 것이라고 26일 밝혔다. 식약처 관계자는 “의료기기로 허가받은 LED 마스크와 관련 광고는 우리가, 나머지 일반 공산품은 국표원이 관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식약처가 LED 마스크를 까다롭게 관리하면 회사 생존조차 위협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LED 마스크가 (식약처로부터) 의료기기로 허가받기 위해선 제조사의 제조 공정·품질 자료·안전성 유효·임상 등을 만족시켜야 한다”며 “영세업체가 이 같은 조건을 다 맞추기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식약처는 임상 단계에서 제품 시험 계획을 시작으로 수백명이 약 6개월 동안 진행해야 하는 만큼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의료기기로 허가받으면 일반 공산품처럼 판매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동안 업계에선 식약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기기를 판매할 수 없어 사실상 퇴출될 것을 우려해왔다. 업계 관계자는 “LED 마스크가 의료기기로 관리 받게 되면 후발업체나 대다수 영세업체는 시장에서 퇴출될 수 있다”며 “다만 (LED 마스크가) 의료기기로 분류되지 않으면 업체들의 부담이 줄어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