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용동의 우리들의 주거복지] 부동산, 수도권은 민간공급 살리고 지방은 활성화 대책 내놔야

    요동치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안정될 수 있을까. 또 가격이 절반으로 뚝 떨어지면서 미분양과 빈집이 늘어가는 침체일로의 지역 주택시장을 과연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 부동산 거래에 제동을 거는 토지거래허가구역 및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의 추가 확대를 골자로 한 3..
  • [강성학 칼럼] 축구와 전쟁의 마력: 영광스러운 불확실성의 세계

     고대 그리스의 극작가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s)는 만일 여자들이 남편과 애인들에게 자신들을 거부하려 한다면 그들의 남자들은 침상의 즐거움과 전투장에서 아주 신나는 경험의 사이에서 선택해야만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것은 전쟁이 인간의 본능에 기인한다는 수많은 철학자들의 입..
  • [강성학 칼럼] 20세기 구 냉전체제와 21세기 신 냉전체제

     제2차 세계대전 말과 그 직후에 행해진 미국의 모든 개인적 실수들 뒤에 가장 근본적인 것은 "전쟁이란 수단을 달리한 정책의 연속"이라는 칼 폰 클라우제비츠(Carl von Clausewitz)의 금언을 소홀히 한 것이었다. 미국인들 사고방식의 이런 성질은 전쟁에 대한 비정치적인 미국의..
  • [강성학 칼럼] 트럼프 대통령의 신중상주의(Neo-Mercantilism): 견제해야할까 아니면..

     제2차 세계대전의 종식 이후 최근까지 국제관계는 미국의 제32대 대통령 프랭클린 델라노 루스벨트(FDR) 대통령이 추구했던 국제평화와 안전을 위한 소위 국제적 다자주의를 꾸준히 유지하고 발전시켜 왔다. 이런 과정은 동시에 국제적 자유무역의 지속적인 확대를 통해 세계자유무역체제(WTO)..
  • [강성학 칼럼] 로널드 레이건(Ronald Reagan)의 리더십: 신보수주의의 챔피언(5)

     미국과 소련의 지도자가 6년 만의 첫 만남인 1985년 11월에 있을 정상회담의 막바지 준비과정에서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로널드 레이건에게 우주무기의 완전한 금지를 전제로 ICBM의 50% 감축을 제안하는 편지를 보냈다. 협상에서 고르바초프는 만일 미국이 우주의 군사화를 포기한다면, 자..
  • [강성학 칼럼] 로널드 레이건(Ronald Reagan)의 리더십: 신보수주의의 챔피언(4)

    아프가니스탄 사태로 로널드 레이건이 대통령으로 취임했을 때 소련과의 관계는 이미 좋지 않았다. 레이건 행정부 초기에 소련의 지도자 레오니드 브레즈네프(Leonid Brezhnev)가 새 미국 대통령에게 정상회담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으나 레이건은 이것을 무시했다. 그러나 레이건이 암살..
  • [강성학 칼럼] 로널드 레이건(Ronald Reagan)의 리더십: 신보수주의의 챔피언(3)

     1982년이 되자 로널드 레이건은 자신의 대통령직에 대한 스타일을 세웠다. 그것은 대통령직에 대한 새로운 유형이었다. 레이건 대통령은 국정 방향을 정하고 주요 결정을 하는 반면에 실행은 다른 사람들에게 넘겼다. 그는 새로운 CEO 슈퍼맨의 패러다임이 되었다. 그는 보좌진을 몰아세우기보..
  • [강성학 칼럼] 로널드 레이건(Ronald Reagan)의 리더십: 신보수주의의 챔피언(2)

    -레이건, 라디오가 저무는 시대에 매일 라디오 정치평론을 통해 노령의 나이에도 정치적 힘을 발휘 -취임사에서 "현 위기에서 정부는 해결책이 아니라 정부가 문제"라고 선언 -관제사노조가 불법파업을 하자 이들이 선거에서 자신을 지지했지만 단호하게 이들을 해고하고 군인들로 대체  로널드 레이..
  • [강성학 칼럼] 로널드 레이건(Ronald Reagan)의 리더십: 신보수주의의 챔피언(1)

    고대 그리스 시인 아르킬로쿠스(Archilochus)가 "여우(fox)는 많은 것을 알고 있는 반면에 고슴도치(hedgehog)는 한 가지 큰 것만 안다"고 말했다. 레이건은 여우보다는 고슴도치였다. 그는 오로지 철두철미 반공산주의자였다. 그리고 그는 결국 미국의 성공한 대통령이 되었다..
  • [강성학 칼럼] 조셉 스탈린: 야누스(Janus)같은 두 얼굴의 리더십(6)

    1944년 9월 중순까지 연합군의 진격으로 독일은 50만명의 사상자를 냈다. 이때 대부분의 프랑스가 해방되었다. 1945년 1월 붉은 군대가 동부전선에서 나치군대의 최종적 파괴를 노리는 강력한 공세를 폈다. 독일의 몰락이 임박하자 3거두가 독일의 점령과 유엔의 창설을 포함하여 전후세계를..
1 2 3 4 5 next block

카드뉴스

lef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