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성학 칼럼] 조셉 스탈린: 야누스(Janus)같은 두 얼굴의 리더십(6)

    1944년 9월 중순까지 연합군의 진격으로 독일은 50만명의 사상자를 냈다. 이때 대부분의 프랑스가 해방되었다. 1945년 1월 붉은 군대가 동부전선에서 나치군대의 최종적 파괴를 노리는 강력한 공세를 폈다. 독일의 몰락이 임박하자 3거두가 독일의 점령과 유엔의 창설을 포함하여 전후세계를..
  • [강성학 칼럼] 한국인들은 21세기 전체주의의 유혹을 극복할 수 있을까?

    20세기가 철학적 개념의 이름으로 싸우는 거대한 전쟁들에 의해서 자국을 낼 것이라고 놀라운 정확성으로 예언했던 사람은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였다. 당시까지 인류의 최대 비극인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가던 1918년과 1923년 사이에 독일의 역사철학자 오스왈..
  • [강성학 칼럼] 조셉 스탈린: 야누스(Janus) 같은 두 얼굴의 리더십(5)

    1940년 5월 10일, 완전히 의회의 신임을 상실한 체임벌린이 영국의 수상직을 사임하고 윈스턴 처칠이 수상이 되었다. 영국의 뎅크에르의 철수작전 뒤에 스탈린은 발트해의 3국을 장악하기 위해 신속하게 움직였다. 2주 후에 프랑스는 독일에게 항복했고 스탈린은 대담하게 루마니아를 침공했다...
  • [강성학 칼럼] 솔제니친(Solzhenitsyn)이 고발한 소련 공산전체주의 처참한 삶, 경계하..

    오늘날 대한민국에선 가짜 뉴스를 포함해서 거짓말이 만연하고 공포정치가 은밀히 다가오고 있다. 이것은 좌익 전체주의적 신드롬(syndrome)이다. 종북 및 친북 그리고 자생적 사회주의자들이 대한민국을 사회의 모든 곳에서 공격하고 있다. 다가오는 6월 3일 대선을 정점으로 총공세를 할 것..
  • [강성학 칼럼] 조셉 스탈린: 야누스(Janus)같은 두 얼굴의 리더십(4)

     스탈린은 옛 볼셰비크 사회를 불법화하고 선정적인 공식 재판이 열릴 것이라고 담백하게 발표했다. 그 재판은 과거 모스크바 귀족들의 클럽인 귀족들의 홀(the Hall of Nobles)에서 이루어졌다. 첫 재판은 트로츠키의 간첩으로서 카메네프와 지노비프가 이끄는 30명의 당원들이 관련된..
  • [강성학 칼럼] 조셉 스탈린: 야누스(Janus) 같은 두 얼굴의 리더십(3)

    레닌의 장례식을 치른 4개월 후에 레닌의 미망인인 크루프스카야가 손에 '폭탄'을 들고 중앙위원회에 참석했다. 그것은 스탈린을 비난하고 트로츠키를 그의 후계자로 임명하는 자기 남편의 마지막 유언과 증언이었다. 그것이 다가오는 당 대회에서 공개되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큰 소리로..
  • [강성학 칼럼]윤 대통령의 예언자적 리더십: 대한민국을 깊은 잠에서 깨우다

    ◇윈스턴 처칠, '영국이 잠든 사이에' 히틀러의 준동을 외롭게 경고하다  역사에서 영웅적 지도자들은 예언자적 성격을 갖는다. 처음엔 그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사람들이 별로 없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지지자들이 늘어난다. 그 시기에 예언자는 정치적 핍박을 받기도 한다.  1930년대..
  • [강성학 칼럼] 조셉 스탈린: 야누스(Janus) 같은 두 얼굴의 리더십(2)

    1918년 3월 새 붉은 정부는 모스크바로 이사했다. 러시아의 남쪽에서 붉은 군대는 레닌정권을 타도하고 러시아가 독일에 대항하는 전쟁으로 복귀하기를 기대하는 영국과 프랑스에 의해 비밀리에 지원받는 반-볼셰비크 장군들이 이끄는 백색군대(White armies)의 도전에 직면했다. 레닌은..
  • [강성학 칼럼] 조셉 스탈린: 야누스(Janus)같은 두 얼굴의 리더십(1)

    -매달 4만명이 처형되었던 공포정치의 대명사 조셉 스탈린은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와 함께 20세기에 쌍벽을 이루는 전체주의의 폭군 -스탈린은 소련을 단기에 산업화하고, 제국주의국가들과 손잡고 히틀러의 침공을 막아낸 영웅적 전략가 -그래서 조셉 스탈린은 그 후 모든 공산주의자들의 롤 모델이..
  • [강성학 칼럼] 레이몽 아롱의 "지식인의 아편"(The Opium of Intellectuals..

     본서의 제2부에서 레이몽 아롱은 좌파 '성직자들과 신도들'의 분석을 시작으로 '역사의 숭배'를 조사했다. 즉, 비-스탈린주의 혁명가들 그리고 특히 파리의 지성계에서 스탈린의 현실주의와 함께 트로츠키의 비극적 삶이 규탄한 것으로 보일 혁명적 이상주의에 일종의 철학적 존중성을 부여한 사르..
1 2 3 4 5 next block

카드뉴스

left

right